뉴스
"정자"(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도세자 '융릉'의 기준이 된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우측에 비각과 수복방이 있다. 특이하게 비각은 정자각보다 상단에 있으며 수복방은 정자각 우측 하단에 있다. 비각 안에는 1731년 이장할 때 건립한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의 능표가 있으며 그 앞면에 전자(篆字)체로 ‘조선국 인조대왕 장릉 인열왕후부좌’라고 쓰여 있다. 참고적으로 ... ...
- 조선 최고 지식인 왕, 아비가 둘이었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05.06
- 조아리고 있는 석마의 다리 사이의 석판에는 꽃무늬를 정성스럽게 장식해 놓았다. 정자각 우측에 비각이 두 채 있다. 2채의 비각에는 3개의 비석이 세워져 있는데 위에 있는 비각에는 능 조성 당시의 세자 신분의 능비가 있으며 아래 비각에는 정조 때 왕으로 추존 후 세운 비와 순종 때 황제로 ... ...
- 왕비의 묫자리도 정치적 희생양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느티나무는 왕릉 중요 부분에 많이 심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마을 앞 정자나무이기도 하다. 오래 살고 가지를 많이 뻗어 쉼터를 충분히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또 느티나무는 결이 곱고 황갈색의 색깔에 약간 윤이 나며 썩거나 벌레가 먹는 일이 적은 데다 무늬도 아름답다. 갈라지거나 ... ...
- 후사 없이 요절한 닮은 꼴 자매 왕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이곳에서는 서있는 상태로 배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석호는 앉아 있는 모습이다. 정자각의 우측에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로 지은 팔작지붕 건물의 비각이 있는데 순조 17년(1817) 공릉 표석과 함께 제작된 것이다. 공혜왕후는 왕비로 사망했으므로 세자빈의 신분으로 사망한 언니 장순왕후의 공릉에 ... ...
- 영조는 못 오고 정성왕후만 묻힌 곳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세호는 하향, 우측은 상향이다. 난간석주에 방위 표시를 한 십이지가 문자로 새겨졌다. 정자각 왼쪽에 예감, 오른쪽 뒤편에 산신석이 있다. 비각에는 영조가 친히 내린 왕후의 시호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단목장화정성왕후(恵敬荘慎康宣恭翼仁徽昭献端穆章和貞聖王后)’라는 글이 새겨졌다. ... ...
- 꽃다운 나이에 스러진 왕비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가는 참도의 경사가 심해 참도 중간에 3단 계단을 뒀다. 정자각은 현종의 숭릉 정자각과 같이 당시 유행하던 정면, 측면이 1칸씩 늘어난 각 5칸의 익랑이 있다. 배전은 전면 1칸, 측면 2칸으로 다른 능보다 규모가 크며, 이런 형태는 서오릉에서 유일하다. 맞배지붕에 방풍판이 있는 정전 좌우 양쪽으로 ... ...
- 묫자리 잘못 써서 대가 끊겼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못하며 양쪽 능침 장명등 지붕 옥개석의 상륜부도 사라졌다. 양쪽 능 아래 중간지점에 정자각과 홍살문이 있다. 참고문헌 : 「王権의 무게가 너무 컸을까 13개월 통치, 19세 요절」, 이창환, 주간동아, 2010.05.31 『신토불이 우리문화유산』, 이종호, 컬쳐라인, 2001 「풍수지리는 위선사」, 이종호, ... ...
- 달걀이 알려주는 명당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적어도 500년에서 1000년 정도 갈 수 있는 장소를 찾았다. 예종 능과 예종 능에서 바라본 정자각의 모습. - 이종호 제공 지관들은 명당자리를 확인할 때 주로 달걀을 사용한다. 보통 땅에 달걀을 파묻으면 곧바로 썩지만, 명당자리에서는 몇 달이 지나도 생생하게 보존된다. 한 실험에서 명당의 혈처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올해 ‘네이처’(8월 23일자)에 실리기도 했다. 크로는 젊었을 때 정자를 보관해 뒀다가 자식이 필요할 때 인공수정을 하는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크로는 비올라 연주 실력이 직업 연주자 수준이어서 45년 동안이나 매디슨심포니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 ...
이전303132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