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신입생들에게 '넙죽이' 담은 웰컴키트 배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학생정책처, 예술융합센터 미술관이 공동 기획하고 브랜드샵이 물품과 배송비를
100
% 지원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경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로봇 운영체제(ROS)에서 데이터 분산 서비스(DDS)의 데이터 전달 지연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세계 ... ...
"양자컴 상용화 시기 알 수 없어…지금은 클라우드가 유리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인도 정부 부처인 전자정보기술부는 브라켓을 통해 인도 내
100
개 이상 대학에 관련 분야 연구 교육 자원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안도열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브라켓으로 비선형 유체역학 방정식을 해결하기 위한 양자 알고리즘을 개발하기도 했다. ... ...
[사이언스영상] 사람보다 빨리 뛰는 로봇 개
SEIZE
l
2025.01.24
것을 막았다. 또 치타 발톱 모양에 영감을 받아 만든 신발을 신겨 접지력을 높였다. 현재
100
m 세계 신기록은 2009년 자메이카의 우사인볼트가 세운 9초 58이다. 영상 속 모습이 진짜일 경우 팬서2는 상당히 빠른 셈이다. 다만 팬서2의 출시일과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영상과 보도자료 외에 논문 등의 ... ...
"우주산업 아우르는 伊 기업들, 韓과 협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제정했다. 이탈리아는 유럽우주국(ESA) 설립 멤버 중 하나로 22개 국가, 15개 국제기관과
100
개 이상의 협력을 하고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SS) 거주 모듈 절반 이상을 제작하고 우주비행사도 다수 배출한 우주 강국이다. 현재 이탈리아는 발사체를 포함해 우주산업 전반을 아우른다. 중소기업이 상당 ... ...
전량 수입 의존 투과전자현미경 국내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유일한 분석과학 연구 장비다. 최첨단 연구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장비이나
100
%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전 세계 TEM 시장의 97%를 일본과 미국 업체가 점유하고 있다. 또 이들 기업은 중⸱대형 TEM 모델만 판매하고 있어서 국내 수요자들은 필요 이상의 고성능 모델을 비싼 가격에 도입하고 ... ...
도심항공모빌리티에 쓰일 리튬황전지 상용화 발판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하나씩 쌓아
100
0밀리암페어(mAh)급 파우치형 리튬황전지 시제품을 만들었다. 시제품은
100
회 충·방전을 거쳐도 용량이 85% 이상 유지됐다. 박 연구원은 “SWCNT와 산소 작용기와의 결합을 통해 리튬황전지의 가장 큰 난제를 극복한 것은 물론 대면적·고용량 유연 전극 설계 및 시제품 제작까지 ... ...
호모 에렉투스, 나무 없는 '잔인한 사막'에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당시 환경을 재구성했다. 분석 결과 호모 에렉투스가 살았던 120만년부터
100
만년 전 엔가지 난요리는 사막에만 사는 식물이 서식하는 등 반사막 상태가 지속된 극도로 건조한 환경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호모 에렉투스는 강과 개울이 형성한 연못 같은 담수가 있는 곳을 반복해서 점유하고 ... ...
고분자 엮은 '사슬갑옷' 구현…방탄복 혁신 가져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2차원 형태로 기계적 결합된 최초의 물질일 뿐 아니라 1㎠(제곱센티미터) 면적에 약
100
조 개의 결합이 포함돼 물질의 기계적 결합 밀도에서도 최고 기록을 세웠다.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디텔 교수팀이 개발한 소재를 극한 온도와 부식성 화학물질을 견디는 강한 섬유 소재인 울템(Ultem)과 혼합해 복합 ... ...
폭발없는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에너지밀도 10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고체전해질막이다. 고체전해질막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수백 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에서 1mm 수준까지 두껍게 만든다. 전해질막이 두꺼우면 에너지 밀도 손실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체전해질막을 활용해 만든 파우치형 전고체 이차전지가 발광다이오드(LED)를 ... ...
美日 민간 달 착륙선·한국 시조 11편, 스페이스X 로켓 실려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비행을 거친 뒤 5~6월에 달 앞면 북극 인근에 착륙한다. 연료를 아끼기 위해 지구에서 약
100
만km 지점까지 나아간 뒤 지구 중력으로 가속해 달까지 비행할 계획이다. 레질리언스는 달 토양을 채취하기 위해 높이 26cm의 초소형 달 탐사차 ‘티네이셔스’ 등 6개의 탑재물을 싣고 있다. 아이스페이스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