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스페셜
"
꿈
"(으)로 총 492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무한경쟁 우주발사체 시장…한국형발사체 설 곳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얻고 있다. 지난해 11월 75톤 엔진 비행 테스트 성공 당시 집중 조명됐던 ‘우주강국’의
꿈
이 이뤄지려면 ‘디스카운트’가 대세인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동시에 발사 성공률을 높이거나, 국내 위성 발사 수요 시장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우주 발사 ... ...
[과학게시판] 천문연, 동계 방문의 날 행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0일 오전 대전 유성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2018년
꿈
자람 재능키움 과학진로잔치'를 연다. 창의재단과 이화여대가 주관하고 교육부가 주최하는 이 행사는 지난해 '사다리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된 중학생 30팀과 고등학생 50팀 등 약 350명이 참가해 팀별 연구 ... ...
[과학게시판] 서울대-카오스재단 공개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9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대강당에서 제26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 강연 '과학자의
꿈
과 도전: 과학 선율'이라는 대중 강연을 연다고 밝혔다. 카오스재단과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이 주최하고 인터파크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는 정택동 서울대 화학부 교수, 임채영 서울대 통계학부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침투하더라고 무찌를 수 있다는 걸 생쥐 동물실험으로 보여줬다. 만능 독감 백신의
꿈
을 대신할 만능 독감 항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인 나노항체(nanobody)부터 알아보자. 한 세대 전인 1980년대 후반 벨기에 자유대 연구자들은 동물기생충을 연구하기 위해 사람의 혈액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거리에 관계없이 전송하는 양자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의 통신망을 대체할
꿈
의 통신인 양자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3일 여러 사람이 뫼비우스띠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돼 있음을 연상케 하는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양자의 특성을 표현할 때 자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
2018.12.15
마추픽추에 간 적이 있다. 어렸을 때부터의
꿈
이었던 곳이어서 제대로 체험하겠다며 수일에 걸쳐 산을 타고 올라가는 코스를 선택했다. 산은 커녕 걷는 것도 귀찮아 하던 나에게는 매우 험난한 길이었고 감히 산을 얕잡아 본 나의 오만함을 크게 반성한 계기가 되었다. 정상에 올라 마추픽추를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네 번 발사를 경험했는데 실제 발사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나중에 발사 장면 보는게
꿈
이다. ▶임철호 원장=개발에 참여한적은 없고 부원장 때 사고조사위원을 지낸 일이 있다. 산화제 탱크 만드는 데 많은 난관 있었고 기술적 난제 많은데. 개발할 때 저희가 설계하고 만드는 건 다 기업이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앞줄 가운데)과 연구단 과학자들. 이때만 해도 수년 뒤 엄청난 비극이 일어나리라고는
꿈
에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서 단장과 IBS를 믿고 안정적인 교수 자리도 마다하고 한국에 온 외국 과학자들은 뛰어난 성과를 내고도 쫓겨나는 황당한 상황을 겪고 있다.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훗날 ‘미국 수면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와 함께 추가 연구를 통해 렘수면일 때
꿈
을 꾼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1953년 잠이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이뤄져 있고 대략 90분 주기로 반복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잠의 구조는 울트라디언 리듬의 대표적인 예다. - ‘Why We Sleep’제공 클라이트만은 9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
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흐르는 곳에 우리나라 전통가옥을 지어 사람과 제비가 함께 어울려 사는 제비 마을을
꿈
꾸고 있답니다.” 지구를 위한 과학은 [어린이과학동아]와 C_program이 함께합니다. 2018 지구를 위한 과학은 남방큰돌고래, 제비, 매미, 민물고기를 연구하는 젊은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