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스페셜
"
물체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그림.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연구자들은 지난 2012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물체
의 거리를 파악하는데 양안시의 입체정보뿐 아니라 심도도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심도(depth)란 쉽게 말해 초점거리를 벗어날 때 흐릿해지는 정도다. 즉 초점을 벗어나도 그렇게 흐리지 ... ...
호킹 “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호킹 박사는 25일(현지 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KTH왕립기술연구소에서 열린 강연에서 “
물체
의 물리적인 정보는 블랙홀 내부가 아니라 블랙홀의 경계선인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에 저장된다”고 말했다고 가디언 등 외신이 보도했다. 블랙홀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생물의 존재는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질병과의 관계는 불명확한 상태였다. 코흐는 이
물체
가 탄저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일지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한다. 1876년 코흐는 막대 모양의 세균이 탄저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표했고 1880년 베를린 보건국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즉 위상 정보를 보존한 빛(광자)을 감각해 전달하는 기관이다. 즉 여기에서 빛은
물체
의 형태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인 셈이다. 이런 수단이 꼭 빛일 필요는 없다. 박쥐나 기름쏙독새는 소리(음파) 정보를 재구성해 주위 사물을 ‘본다’. 진화의 관점에서 빛이 형태의 정보를 주는 매개체가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아무것도 없는 공간’은 애초에 말이 되지 않으니 있을 수 없지만 ‘원래 있던
물체
가 없어진 자리’나 ‘한 사물이 다른 사물과 상호작용하는 장소’라는 방식으로 존재하는 공간은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흔히 인용되곤 하는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는 명제는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어떤 변화가 생기는 지 확인할 계획이다. 과연 쌍둥이 우주인 형제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
일수록 시간이 느리게 간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증명할 수 있을지, 후성유전학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시작한 이래, 중력에 대한 이해는 본질적으로 바뀌었다. 뉴턴 이후 중력은 질량을 지닌
물체
가 서로 당기는 힘이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질량은 시공간을 왜곡시키며, 왜곡된 시공간으로 나타나는 효과가 중력이라고 해석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는 중요한 변화였는데, 질량이 없는 입자나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두 가지의 힘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지기도 하고 멈추기도 한다. 중력은
물체
를 지구 중심으로 끌어당긴다. 평평한 곳에서는 운동 방향과 직각이 되기 때문에 쉽게 움직일 수 없지만 경사가 심할수록 중력의 작용이 운동 방향에 가까워져 이동이 쉬워진다. 산이 높은 교외에 스키장이 위치한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하나를 추가했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 사진이 찍히는 것도 이해하기 어려운데 불투명한
물체
를 통과한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깝다.’ 의학을 바꾸다, 사람을 구하다 이후 1년 동안 X선에 관한 논문이 1천 종, 단행본은 50권 가량 출판되었고, 1897년에는 ‘뢴트겐협회’가 결성되었다.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중첩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확률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에서 다소 벗어나야 한다. A라는
물체
가 B에 있을 확률이 10%라면 10번 중 한 번은 B 장소에 있고 나머지 9번은 B에 없다는 뜻이다. 이때 A는 결코 같은 시간에 두 곳에 존재할 수 없다. A가 B에서 발견된다면 A는 다른 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