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스페셜
"
우주
"(으)로 총 1,931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2023년 허블망원경보다 300배 넓게 보고
우주
정거장과 도킹하는
우주
망원경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지구2.0이 케플러
우주
망원경보다 시야가 5배 넓고, 케플러
우주
망원경 후속으로 발사된
우주
망원경 ‘테스’보다도 더 어둡고 먼 행성을 관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구 2.0 프로젝트의 세부 정보는 오는 5월 초기 계획이 마무리되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시작부터 '삐걱' 달 탐사용 로켓 시험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지구에서 45만km 떨어진 지점에 도달해 3주간 달 주변을 비행한다. 향후 오리온 탐사선이
우주
비행사를 태우고 이 지점에 도달하면 인류가 역사상 지구에서 가장 멀리 비행한 기록을 세우게 된다. SLS는 유인 비행을 하기 전 1단계 계획으로 사람 대신 인형을 태우는 임무를 지난해 수행할 예정이었다. ... ...
"여기는 지구입니다"…외계인에 메시지 보내려는 과학자들
연합뉴스
l
2022.04.18
있다. NASA가 1977년에 발사해 현재 태양계를 외곽 또는 태양계 밖을 비행하고 있는
우주
탐사선 보이저 1ㆍ2호에는 고래 소리와 천둥소리,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 척 베리의 음악 등이 아날로그 영상과 함께 기록된 금으로 된 음반이 실려있다. ... ...
[
우주
산업 리포트] 글로벌
우주
산업 투자동향
2022.04.15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2021년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에 합류해 서울지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만큼 작은 혜성을 관찰할 수 없어 가설로 남아 있다. 태양계 너머를 탐사중인 NASA의
우주
탐사선 보이저호가 오르트 구름의 도입에 도달하는 데는 300년, 빠져나가는 데 3만 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주윗 교수는 “이 혜성은 태양계의 더 먼 부분에서 볼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한 수많은 혜성 중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1) 누리호의 하늘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누리호에 쓰인 위성항법 수신기.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덕산넵코어스 제공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가 오는 6월 두 번째 시험 발사에 나 ... 자율주행차, UAM에 적용할 항법장치 상용화에 나섰다”며 “해외에서도 실력을 인정받는
우주
항공 전문회사로 도약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 ...
대전세종연구원 "
우주
연구기관 42%, 관련기업 17.9% 자리잡은 대전이 항공
우주
청 적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11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우주
정책 전략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대전시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후보 시절 설립하겠다고 공약한 항공
우주
청의 설 ... 공약하기도 했다. 반면 안철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은 후보 시절 대전을 항공
우주
청 후보지로 지목했다 ... ...
우크라 사태로 아리랑6·차세대중형위성2호 발사 연기될듯
연합뉴스
l
2022.04.12
등으로 발사 수요가 몰리고 있다.
우주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러시아는 그간 위성 등을
우주
로 올려보내려는 다양한 나라에 발사체를 빌려주는 발사 대행 서비스를 활발하게 진행했다. 이 때문에 위성 업계에서는 러시아 발사체가 아닌 다른 나라의 발사체를 이용할 경우 최소 반년 이상 추가 준비 ... ...
여름만 40년 해왕성 기온 내내 떨어지다 급상승 불가사의
연합뉴스
l
2022.04.12
년대 말에 가동될 ESO의 극대망원경(ELT)이나 올 하반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의 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JWST는 고성능 중적외선 장비(MIRI)를 이용해 올해 말 천왕성과 해왕성을 관측할 예정인데, 이번 논문의 공동 저자이기도 한 레스터대학의 리 플레처 교수가 웹 ... ...
국내 첫 심
우주
프로젝트 달탐사선 개발 마무리 돌입…8월
우주
로
연합뉴스
l
2022.04.11
사출한다. 지구와 달 사이 직선거리는 38만㎞지만 KPLO는 지구에서 약 156만㎞ 떨어진 심
우주
까지 이동한 뒤 다시 지구 근처로 돌아와 달 궤도로 진입하는 BLT 경로에 따라 움직인다. BLT는 KPLO가 지구를 시작으로 부메랑 모양을 그리며 움직이다 달 근처에 도달한 뒤 달 중력에 잡혀 목표 궤도에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