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타입
형
타이프
추방
갈래
형식
스페셜
"
유형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케일 같은 식물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인 케르세틴(quercetin)이다. 두 약물은 서로 다른
유형
의 노화 세포에 작용해 둘을 함께 쓰는 칵테일 요법(이하 D+Q로 표시)이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지난 3년 동안 ‘D+Q’의 노화 치료제 가능성을 검토했는데 비록 생쥐를 대상으로 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뇌 속 신피질 부위에 있는 신경세포들의 유전자를 분석해, 신경세포를 133개의 서로 다른
유형
으로 분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신피질은 대뇌 피질 중 가장 최근에 진화한 부위로, 6개의 신경세포층으로 구성된다. 연구진은 쥐의 신피질에서 얻은 2만 3822개의 신경세포가 갖고 있는 차이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먹기에 적합한 유칼립투스 잎을 고른다. 게놈 해독 결과 여기에는 코알라에만 있는
유형
1 서골비수용체 유전자 6개가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 둥근 얼굴에 커다란 코 때문에 유대류임에도 사람과 닮아 보인다. - 위키피디아 제공 코알라의 후각수용체(olfactory receptor) 유전자는 1169개로 다른 유대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감지한다. 표피(epidermis)에 해당하는 위쪽에 넣은 센서는 압력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형
으로 통증을 줄 정도의 강한 압력에 즉각 반응해 신호를 보낸다. 의수가 물건을 집을 때 표면이 밋밋해 압력이 작을 경우 단순한 촉각으로 느껴 그대로 있지만(위와 가운데), 끝이 뾰족해 압력이 크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아무래도 믿음이 더 가기 마련이다. 학술지 ‘네이처’ 4월 12일자에는 새로운
유형
(P-CAB)의 위산과다 치료제 보노프라잔이 양성자펌프에 붙어있는 상태의 구조를 밝힌 논문이 실렸다. 왼쪽 위는 보노프라잔의 분자구조이고 아래는 양성자펌프가 수소이온과 칼륨이온을 받고 내보내는 사이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결과 특정
유형
의 대식세포(왼쪽)가 안료(녹색)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유형
의 대식세포(가운데)나 수지상세포(오른쪽) 내부에는 타투 안료가 없다. - ‘실험의학저널’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발견이 레이저 시술로 문신을 지울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즉 레이저 펄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망간, 코발트의 비율이 1:1:1인
유형
은 무게비로 코발트가 리튬의 2.8배이고 비율이 6:2:2인
유형
은 1.7배다. 전기차 배터리조차도 양극재에 리튬보다 코발트가 더 많이 들어간다는 말이다. 논문은 먼저 니켈과 망간, 흑연의 상황을 간단히 언급하는 데 적어도 2025년까지는 걱정할 일이 없다고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섞이지 않은 아프리카인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순종 만다린을 ‘
유형
1’로 분류했다. 그리고 게놈에 포멜로의 유전자가 1~10% 섞여 있는 16가지를
유형
2 만다린으로, 포멜로의 유전자가 12~38% 섞여 있는 7가지를
유형
3 만다린으로 불렀다. 7가지 가운데 사추마만다린(Satsuma mandarin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쓰인 트레할로스의 일부는 대장까지 이동해 그곳에 사는,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유형
의 클로스트리디움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 일상적인 식사를 한 입원환자 세 명의 회장루(소장의 말단인 회장을 인공항문으로 만든 구조) 분비물에 클로스트리디움을 배양한 결과 RT027은 두 곳에서 tre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판코니 빈혈(Fanconi anaemia)이라는 선천성 질환의 미스터리와 씨름하고 있었다. 특정한
유형
의 DNA 손상을 복구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고장 나 골수에 있는 조혈줄기세포의 염색체가 손상을 입어 피(혈구)를 제대로 못 만들어 생기는 빈혈인데 문제는 DNA를 손상시키는 약물에 노출이 되지 않아도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