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웃
근처
부근
근방
인근처
인접
이웃집
스페셜
"
인근
"(으)로 총 428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지구상 가장 빠른 '탈 것'들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이번에는 프랑스에 시험 운행 트랙까지 완공한 것이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12월 10일 LA
인근
에서 하이퍼루트 터널을 공개하기도 했다. HTT의 하이퍼루프 실제 캡슐 '퀸테로 원'. HTT 홈페이지 제공. 하이퍼루프 트랙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5월 미국 기업 ‘하이퍼루프원’이 미국 네바다주 ... ...
신재생에너지의 ‘아킬레스건’ 저장문제 연료전지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지형 특성상 태양광, 풍력 에너지가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부지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인한 사회적 갈등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반대로 일각에서는 기술에 대한 투자로 발전 효율을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문제는 신재생에너지원이 ... ...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항공기는 160노트(시속 300km)의 속력으로 순항하며 서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 서산시
인근
까지 비행했다. 그런 다음 다시 남쪽으로 내려와 보령 지역까지 갔다가 태안의 비행장으로 오후 4시24분 복귀했다. 이날 항공기는 40분간 150km를 날았다. 항공기에 설치된 에어로졸 밸브.고재원 기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위성세포(satellite cell)라고 불리는 줄기세포가 있어서 신호가 오면 세포분열을 하고
인근
근육세포에 흡수되면서 세포핵이 더해진다. 성장기에는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않아도 위성세포가 왕성하게 분열해 근육량이 늘어난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 근육량은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힘을 쓰는 노동자나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최대 80m 높이로 마그마가 분수처럼 솟구쳤다. 용암은 초속 100㎥에 해당하는 속도로
인근
해안과 마을 덮쳐 총 35.5 ㎢(평방킬로미터) 지역을 삼켜버렸다. 연구팀은 용암이 흘러내린 양과 칼데라의 지반 침하 정도가 0.8 k㎥로 서로 유사했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중앙의 화구가 아닌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도요새나 물떼새들의 둥지를 노리는 천적이 증가했으며, 기후변화가 진행되면 바닷가
인근
새들의 생태계가 크게 변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를 이번호에 소개했다. 연구진은 도요새와 물떼새를 포함해 바닷새 111종이 전 세계 149개 지역에 만든 둥지 3만 8191개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했다. 1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비용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인근
항구도시 롱비치에 자리한 소형위성 전용의 전문 발사체 기업인 버진 오빗 본사 건물.- 로스앤젤레스=김진호 기자 ● 비행기에서 위성 담은 로켓 쏜다.."세계 최초로 시험발사 연내 진행" 버진 오빗의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약 4만 년 전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시베리아
인근
까지 살았던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이었고, 아버지는 비슷한 시기에 아시아 대륙 일부에 살았던 또 다른 친척 인류 ‘데니소바인’이었다. 데니소바 동굴에서 내려다 본 풍경. 5만 년 전은 빙하기로,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쓰레기가 많은지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이날 탐사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 사는 초등학생들도 10여 명 초대됐다. 도승은(한라초 5) 대원은 “제주에 살면서도 돌고래를 직접 본 적이 없었는데, 이렇게 가까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다”며, “앞으로 기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적다? 다음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다. 가끔 뉴스를 보면 대규모 축사가 들어서면서
인근
주민들이 악취로 진저리를 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특히 지금처럼 더울 때는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 지구에 가축 수십억 마리가 살면서(닭은 작으므로 열 마리를 한 마리로 치면) 내놓는 배설물도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