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줄기"(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동아사이언스 l2012.08.28
- 교수 2005~현재 저널 ‘Stem Cell’ 편집위원 2006~현재 포천중문의과대 석좌교수 및 차병원 줄기세포연구소 공동연구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7.04
- 받았다. 현재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그는 혈액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생성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허혈성 질환’의 세포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해외 우수 인재, 한국 채용길 열려야… IBS 정책 기대 NEBS는 학술적인 성격이 ...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2.06.12
- 신약개발 R&D를 지원하고 약가 우대나 세액공제 등의 혜택도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줄기세포치료제나 희귀질환 의약품과 같이 특화된 분야의 전문제약기업과 제네릭(복제약) 제품을 대량생산·판매하는 글로벌 제네릭기업을 키우기 위해 마련된 정책이다. 또 의약품 개발 분석이나 인허가를 ...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2.03.19
- 글로벌 신약·의료기기 개발도 도울 방침이다. 또 중앙인체자원은행, 의과학지식센터,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같은 보건의료분야 연구지원을 위한 국가 연구센터도 차차 건립할 계획이다. 60여 개의 첨단 제약·의료기기 업체도 입주할 예정이다. 그는 “오송에 건립된 6대 보건의료 국책기관과 5대 ...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 ●실질적인 성과 낼 수 있도록 재구조화 필요 현재 바이오 연구는 신약, 유전체, 줄기세포, U-헬스케어, 뇌과학의 5개 분야로 나뉜다. U-헬스케어는 바이오와 정보기술을 융합해 어디서나(유비쿼터스)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모바일 의료를 뜻한다. 이중 뇌나 U-헬스케어는 교육과학기술부와 ...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1.07.17
- 김 박사는 최근 서울시와 지식경제부 등과 함께 750억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어 한국의 줄기세포 분야 바이오텍에 투자했다. 김 박사는 “단순히 자금 투자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한국 회사에 맞는 해외 파트너 기업을 찾아주는 일, 보스턴 내 네트워크를 동원해 기업을 더 모아 투자 규모를 키운 뒤 ...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15
- 학술발표에 나선 계 박사도 지난해 12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 ‘셀 스템 셀’에 줄기세포에서의 마이크로RNA 발현을 주제로 논문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회장은 “한국 생명과학 석학 중 NEBS 출신이 다수 있다”며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신희섭 KIST ...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05
- 이니셔티브 공동의장 -2007년~현재 국제 줄기세포 포럼 한국대표 -2008년~2009년 국제 줄기세포 학회(ISSCR) 정부정책분과 위원 -2010년~2011년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재생의료 실무위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동아사이언스 l2011.06.21
- 유연하게 적용할 생각이다. 무 자르듯 적용한다면 부작용이 크기 때문이다. “최근 줄기세포 연구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인기가 있으니 성과가 있다면 좋은 학술지에 실릴 기회도 많습니다. 그렇지 않은 기초연구를 하는 사람은 똑같은 노력을 해도 소외받기 쉽습니다. 각종 지원책을 만들어 ...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동아사이언스 l2011.06.06
- 다르다”며 “국가 이익을 대변하는 연구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생물자원 확보나 줄기세포 연구 등 국가 주도로 해야 할 연구가 BT 분야에 유독 많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BT 연구 대부분을 관리하는 국립보건원(NIH)은 국회에서 예산 증액 필요성을 연설해 파격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는데 ... ...
이전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