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참고"(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2021.03.05
- 말하자면, 이들 집단에서 ‘구구단의 4할 타자’가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참고자료 -찰스 다윈, 《종의 기원》(장대익 옮김), 사이언스북스. -리처드 도킨스, 《눈먼 시계공》(이용철 옮김), 사이언스북스.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이명희 옮김), 사이언스북스. ※필자소개 이종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2021.03.02
- 핵심부품이 규명됐다. 그 결과 2017년 홀과 로스바쉬, 영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참고로 벤저는 2007년, 코놉카는 2015년 사망했다. 지난 50년 동안 생체시계 분야가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생체시계가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이 드러나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 사소네-코르시 교수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코로나 백신 접종 경험기2021.02.27
- 항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그런 이야기였다(정확한 원리는 전문가의 설명을 참고하자). 평소에 믿고 의지하던 사람이 해준 말이어서 금새 마음이 가벼워졌다. 코로나19 백신 주사는 흔히 보던 독감 예방 주사 같은 크기였고 허무하게도 팔이 잠깐 따끔하고 끝났다. 박진영 제공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2021.02.25
- 과학계는 공정한 차별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김명심, & 박희제. (2011).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인정의 결정요인들: 대학원 위신과 지도교수 후광효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5(5), 105-142. -홍유진, 오찬호, & 권영탕. (2014).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2021.02.25
- 마스크 밑에 가려진 사람들의 미소를 다시금 볼 수 있게 되길 고대해본다. ※참고자료 Arvin, A.M., Fink, K., Schmid, M.A., Cathcart, A., Spreafico, R., Havenar-Daughton, C., Lanzavecchia, A., Corti, D., and Virgin, H.W. (2020). A perspective on potential 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of SARS-CoV-2. Nature 584, 353-363. Baum, A., Fulton, B.O., Wloga, E., ... ...
- 제주로 가던 첫 AZ백신 온도일탈 확인…"폐기 여부는 미정"연합뉴스 l2021.02.25
- 정부는 회수한 백신을 폐기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은 25일 참고자료를 통해 전날 상황을 이같이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경기 이천 물류센터를 출발한 제주행 백신 수송 차량이 백신 수송용기 온도일탈로 인해 다시 센터로 돌아왔다. 질병관리청은 ... ...
- 백신 순서 오면? "접종 45.8%, 연기 45.7%, 거절 5.1%"연합뉴스 l2021.02.22
- 백신 순서 오면? "접종 45.8%, 연기 45.7%, 거절 5.1%" [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순서가 오면 바로 맞겠다는 성인이 전체의 절 ...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였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 ...
- 코로나 감염 ‘확산세’로 전환됐다...감염재생산지수 1.1 근접 동아사이언스 l2021.02.21
- 기존 예방접종 이후 헌혈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와 주요 선진국들의 기준과 사례 등을 참고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7일까지 헌혈을 금지하는 지침을 마련했다. 다만 접종 후 이상증상이 있는 경우 증상이 사라진 후 7일이 지난 뒤 헌혈할 수 있도록 했다 ...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2021.02.17
- 나머지 성질은 붙이는 물질에 따라 결정된다"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참고해 어떤 물질을 붙일지 결정하고 미래소재연구단에서 시뮬레이션하는 팀의 도움을 받아 어떤 성질이 나타날지 예측했다"고 말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실제 실험을 진행하고 시뮬레이션 값과 다르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2021.02.16
- 유형으로 나뉘는 건 염색체의 기원이 같지만 많은 시간이 흘러 꽤 달라졌기 때문이다. 참고로 작물화된 벼 2종은 AA형이다. 벼속(Oryza) 식물 27종의 계통수로, 대략 1500만 년 전 종분화가 시작돼 오늘날 2배체 6가지, 4배체 5가지로 나뉜다. 아프리카에서 작물화된 벼(O. glaberrima)와 아시아에서 작물화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