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쇼크
충동
자극
충돌
타격
추진력
흥분
스페셜
"
충격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부정적인 사람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자기지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제일 정서적
충격
을 덜 받고 묵묵히 할 수 있는 일에 전념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자존감이 낮으면 낮은대로 작은 실패 하나에 나는 쓸모없는 인간이라거나 ‘거봐 애초에 안 될 걸 왜 했어’ 라며 좌절하고,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 일에 지나치게 '익숙'해져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
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험이 많을수록 자기 경험에 함몰되어 '그/그녀는 나와 다를 가능성’을 생각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경험이 많다고 자부하지만 그로 인해 되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1이 AA가 포함된 약초를 복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또 다른
충격
적인 사실을 얘기하고 있는데 AA가 쥐방울덩굴속 약초에만 들어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즉 분류학적으로 한 단계 위인 쥐방울덩굴과(科) 식물 다수가 AA를 지니고 있고, 역시 약재로 쓰이는 족두리속(Asarum)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
2017.11.04
모임이 큰 경우에는 되려 남성이 더 말이 많았다. GIB 제공 이 결과를 보고 개인적으로
충격
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여성이 더 말이 많다는 건 너무 당연한 ‘사실’인 것으로 생각해왔기 때문이었다. 생각해보면 초중고 시절 시끄럽게 떠내려가는 교실 안에는 남자 아이들의 소리 역시 매우 컸다. ... ...
금속이 연성을 잃는 한계는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있는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원자 간의 결합을 단단하게 이어줍니다. 외부에서
충격
을 받으면 자유전자가 움직이면서 결합을 끈끈하게 이어주기 때문에 잘 부숴지지 않는 거지요. 연구팀은 이 연성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알아보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원자 2억 6800만 개짜리 탄탈룸 고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한 화장품 회사 연구소에서 일할 때 화장품 가격이 원가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
을 받은 기억이 난다. 그나마 용기(case)는 저가제품과 고가제품에서 제작 단가 차이가 꽤 나지만 내용물(원료)은 정말 거기서거기다. 물론 고가 화장품에 유효성분이 몇 가지 더 들어가지만 워낙 병아리 눈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복잡한 행동에는 수백 가지의 유전자가 관여한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이 발견은
충격
이었다. 두 사람은 197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은 논문에서 “우리가 찾아낸 서로 전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세 가지 일주리듬 돌연변이체가 동일한 유전자에 문제가 생긴 결과라는 건 놀라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파란빛)과 자외선을 많이 내놓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동반성-
충격
모형’이라고 부른다. 즉 관측한 스펙트럼이 초신성 폭발의 에너지에서 계산한 스펙트럼과 일치하면 두 백색왜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초신성이고 파란빛과 자외선 영역이 예상치보다 좀 더 많으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혀 과학계를
충격
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를 규명한 실험방법에 결함이 많다는 지적과 함께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왜 쓰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졌다. 그 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
2017.08.06
더 다음 날에도, 그 다음 날에도 계속 그 일이 생각나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등
충격
의 여파가 오래 가는 것일지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다. 다음부턴 억지로라도 잠을 청해봐야겠다. ※ 참고문헌 Grandner, M. A., & Drummond, S. P. (2007). Who are the long sleeper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mortality relationship.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