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스페셜
"
행성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
2020.02.06
강조한 것은 그래서 의미가 있다. 베이컨의 가르침에 가장 잘 맞는 사례로는 케플러의
행성
법칙이 있다. 다만 과학의 역사를 돌아보면 과학은 귀납의 방법으로만 발전하지 않았다. 오히려 귀납법이 작동한 사례는 극히 드물 정도이다. 또한 베이컨은 경험주의자답게 수학의 가치도 낮게 평가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훅의 주장에 뉴턴은 크게 반발했다. 뉴턴의 요지는 당시 알 만한 사람들은 모두 태양과
행성
사이에 역제곱의 법칙이 작용함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다 알고 있던 사실을 왜 혼자만 알고 있었다는 듯이 주장하느냐, 게다가 수학적으로는 내가 훨씬 더 잘 알고 있었다는 게 뉴턴의 주장이다. 뉴턴은 ... ...
외계
행성
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천문연도 VRO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라고 말했다. 이번 관측 결과는 국제소
행성
경보네트워크(IAWN)가 주관하는 보리소프 혜성 국제 공동관측 캠페인에 공유된다. 캠페인에 참여하는 기관의 12월 보리소프 촬영 일지를 보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메이븐(MAVEN), 허블우주망원경 등도 참여한 것을 볼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지난 2016년 9월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1991년 발견된 ‘소
행성
17473’의 이름을 ‘소
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로 변경하는 역할도 주도했다. 국제천문연맹(IAU)에 변경을 요청했고 IAU는 이를 받아들였다. 메이는 2008년부터 2013년 영국 존무어스대 총장도 역임하기도 했다. ... ...
스페이스X 첫 달 여행자 함께 갈 여성 찾는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있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낸다. 이들을 실어나를 스페이스X의 스타십은 지구 외
행성
으로 처음 민간인을 실어나르는 발사체다. 길이 50m, 지름 9m의 중형 발사체로 150t의 탑재체를 실을 수 있다. ‘수퍼헤비’라고 이름 붙은, 지름 9m에 길이 68m의 거대한 발사체의 상단으로 발사된다. 2021년 첫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반지름 2R인 구면 위의 400개의
행성
에 미치는 힘이나 같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 개의
행성
이 느끼는 중력은 거리가 두 배 늘어남에 따라 제곱으로 네 배 줄어들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수학적으로 일반화한 것이 가우스 법칙이다) 만약 우리가 사는 우주의 공간이 3차원이 ... ...
우주로,우주로… 2020년 그동안 보지 못했던 우주개척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혹은 12월경 지구로 돌아온다. 하야부사 2는 지난해 6월 소
행성
‘류구’에 도착한 뒤 소
행성
관측과 표토 시료 채취 임무를 수행했다. 1년 5개월간 다양한 과학 임무를 수행한 하야부사 2는 올해 11월 13일 지구를 향한 귀환길에 올랐다. 2020년 말에는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대미를 장식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역제곱의 법칙이 작용할 때
행성
이 어떤 운동을 하는지 물었다. 뉴턴은 심드렁하게
행성
은 당연히 타원궤도를 돈다고 대답했다. 핼리는 뉴턴에게 그렇게만 말하면 자기 같은 사람은 못 알아들으니까 왜 그런지를 좀 풀어서 책으로 정리해 달라고 했다 한다. 워낙 내성적이고 논란에 휩싸이기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도는 스위프트 터틀 혜성의 잔해를 통과할 때 나타난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
행성
‘3200페톤’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며 나타나는 유성우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8월 12일,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2월 14일에 장관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0일 이름모를
행성
에서 바라보는 블랙홀 ‘M87’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옅은 붉은색 원형 속에 존재하는 M87이 강력한 중력으로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을 포함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다. 이 모습은 상상이 아닌 2017년 4월 5일부터 14일까지 실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