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확립됐는데 한때 베타파의 등장으로 심각한 붕괴국면을 맞기도 했다. 그러나 중성미자의
개념
이 파울리에 의해 제기됨으로써 다시 물리학의 기본원리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게 되었다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최근 강원도 정선부근 지층에서 연세대 이하영교수가 실루리아기 화석을 발견, 대결층의
개념
이 바뀌고 있다.표준화석(標準化石, index fossil, guide fossil)어떤 일정한 지층에서만 산출돼 그 지층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주는 화석을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통해 다른 생물들의 생존연대가 결정되고,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정보처리 기술을 잘 조합하는 통합기술이 중요해질 것이다.뉴로 컴퓨터와 아주 가까운
개념
으로서 바이오 컴퓨터 (biocomputer)가 있다.바이오 컴퓨터는 뉴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주의 컴퓨터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에서는 바이오칩이나 유기분자소자로 실현되는 컴퓨터를 말한다.뉴로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는 디자인'(visible and tactile design)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가지 디자인
개념
에 대한 아이디어 스케치로부터 시작해 유성점토(industrial clay) 등을 이용한 몇단계의 모형이 제작된다. 여러 종류의 모형에 대해서는 각각 기능성 조형성 경제성 양산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함께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수십억개의 신경세포들이 모여서 구성하는 거시체계 신경그물망(large scale neural network)의
개념
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미시구조의 연구만으로 거시현상을 예측할 수 없다는 '시스템이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때 기존의 신경과학은, 자료는 산더미처럼 쌓여있지만 이를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계산으로 비슷한 답을 신속히 구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퍼지 컴퓨터는 병렬 처리
개념
을 이용하여 초당 1천만 퍼지규칙을 처리할 수 있다. 즉 1천만 FIPS(Fuzzy Inference Processing Per Second)의 고속 계산이 가능하다.흑백논리는 벗어나퍼지 이론을 이용한 주요한 응용 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개념
에 바탕을 둔 새로운 이론들이 나오고 있다. 뇌 구조 해명의 열쇠잠재의식에 대한
개념
은 19세기말 한 스위스 심리학자에 의해 최초로 제기됐다. 그 심리학자는 바로 전에 겪은 일조차 전혀 기억 못하는 어떤 환자에게 짓궂은 실험을 했다. 악수를 하면서 환자의 손가락을 핀으로 찔러봤더니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참담한 것이 되고 말았다.그 이유는 한마디로 '집합'이라는 턱없이 높은 고급의 수학
개념
을 어린이들에게 심어 주려는 시도 자체가 무리였기 때문이다. 이것을 지도해야할 교사 자신의 수학적 소양에도 문제가 있었다. 더 솔직히 말한다면 바로 교사가 이 '새수학'의 걸림돌이 된 것이다.말할 나위도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연주하는 자체를 컴퓨터에 저장한다고 보면 쉽겠다.사실 미디를 처음 대하는 사람은 이
개념
을 이해하기가 어려운데 이렇게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겠다. 지금 어떤 피아노의 건반을 이용해서 '학교 종이 땡땡땡'을 연주했다고 하자. 그 계명은 잘 알고 있듯이 '솔솔라라 솔솔미'인데 일반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 가설에 대한 실험적 확증은 아직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
은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식물이 낮은 온도에서 자라면 그 식물의 광합성능력이 빨리 감소된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그래서 차가움에 민감한 식물은 보상점이 차가운 온도 이하에 있는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