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매료돼 입학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정보통신기술의 메카로서 인하대 정보통신
공학
전공의 매력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는 ‘마우스피스’ 같은 장치가 대금에 없기 때문이다. 숭실대 정보통신전자
공학
부 배명진 교수는 “마우스피스는 입으로 ‘후’하고 바람을 불 때 생기는 불규칙한 파동 중에서 특정 진동수를 갖는 파동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악기에서 맑고 청아한 소리가 나려면 파동이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는 포스텍 신소재
공학
과 이규철 교수의 설명이다. 이 교수가 쌓아가기 방식으로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게 된 계기는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반도체 박막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우연히 표면이 우둘투둘한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사진은 예술이다. 내게 예술적인 감각과 능력은 부족한 것 같다. 대신 과학자의 눈으로,
공학
자의 눈으로 사진을 찍으면 예술성은 떨어지겠지만 사진작가는 표현할 수 없는 과학적인 메시지를 담을 수 있지 않을까. 일반인이 과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진을 계속 찍고 싶은 것이 내 꿈이다. 2.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진학했다. 매년 졸업생 100명 중 8명이 ‘의사의 길’을 선택한 셈이다.기초과학이나
공학
을 공부한 학생들이 왜 의학전문대학원에 몰릴까. 우선 경기 침체로 학생들이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설재홍 교수는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되며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올해 상명대에 부임했다. 2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죽거나 난폭해지거나어느 날 전 세계의 생존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등장한다. 이 바이러스는 발견된 지 며칠 만에 지구의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석순자 연구사 > 전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식품·생명
공학
과에서 버섯분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여 년간 전국을 누비며 흰비단털버섯, 대추씨말똥버섯을 비롯한 200여 종의 신종을 발견했다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다.2차원 하천 해석 프로그램, 램스위 상황은 가상이다. 하지만 서일원 서울대 건설환경
공학
부 교수는 “하루빨리 수질예보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가 팔당호에서 직접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페놀이 유입됐을 때 자연적으로 페놀이 빠져나가는 데는 꼬박 1주일이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JPL)는 미국에서 로켓을 처음으로 만든 곳이다. 1936년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젊은
공학
자들이 대학 안에 결성한 연구소에서 출발한 JPL은 얼마 뒤 연구용 로켓 엔진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현재의 위치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1958년 NASA에 소속됐지만 여전히 칼텍의 관리 아래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만든다’.김유수 선임연구원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에서 응용화학
공학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일본 이화학연구소 표면화학연구실에 입사한 뒤 현재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도 참고 기다려주는 일본 연구풍토가 부럽다고 한다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