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노벨상 수상자는 개구쟁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오브 사이언스’가 11월 23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다. 스웨덴 노벨박물관이
직접
기획했으며 독일의 과학전문 사진작가 볼커 스티거가 촬영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모두 52점의 작품이 선보인다. 전시회를 공동 주관하는 KISTEP 박영아 원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청소년과 젊은이들이 즐거운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약 2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뇌심부자극술은 뇌에 전극을 꽂아 뇌 활동을
직접
조절하는 치료술이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허가를 거쳐 파킨슨 병 등 뇌 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매년 수십에서수백 명이 시술을 받고 있다. 다이아몬드 뇌심부자극술은 현재의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서버 압수수색에는 더 취약하다. 다만 독일에 있는 텔레그램 본사를 한국 사법기관이
직접
살펴볼 수는 없어 국가기관의 사찰을 피할 수 있다.비밀 채팅 정말 안전할까현재 발표된 내용에서 가장 안전한 방식은 서버도 복호키(암호를 푸는 열쇠)를 모르는 ‘비밀의 방(비밀 채팅)’이다. 카카오톡의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장인 정신’으로 일했습니다. 칼을 미세하게 갈아서 화폐를 찍는 정교한 요판을
직접
깎았거든요. 돈에 그려진 미세한 지붕 모양 하나하나가 다 위조를 막기 위한 장치인데, 선배들이 한쪽 눈에 현미경을 끼고 ‘나 오늘 기와장 두 장이나 팠다’라고 말씀하시곤 했어요.”하지만 2000년 이후 더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활동 중인 탐사선 ‘큐리오시티’의 실제 크기 모형까지 우주에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답니다. 입체 영상이 360도로 펼쳐지는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런던 시민은 물론 미국 대통령까지 위협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놀랍게도 테러 조직은
직접
미군 시설에 침투해 드론의 조종권을 빼앗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은신처에서 컴퓨터로 이 모든 일을 했다. 바로 사이버테러다.사이버테러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해 데이터를 파괴하고 네트워크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함께 게임이 종료됩니다.2Team 상어를 피하라! -권나영, 김동욱, 김성훈상어와 물고기를
직접
그려서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게임의 규칙을 정하고 스토리를 기획하는 데 꽤 오랜 시간을 들였습니다. 처음에는 음향 센서를 사용했는데 물고기를 불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 ...
수달 VS 해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는 수달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야행성이기 때문에
직접
만나기는 어렵답니다. + 비버비버는 쥐목 비버과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몸길이 60~70㎝에 꼬리길이 33~44㎝로 어두운 갈색 털이 나 있지요. 비버는 꼬리가 비늘로 덮여 있고 오리 주둥이처럼 넓고 둥글어요.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커서 동물 머리 위에
직접
달 수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전극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에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찾아낼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소세포 논문을 3쪽 분량으로 ‘브레인 리서치’에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단일 분자를 이용하면 생체분자의 고유한 성질이나 다른 분자와의 결합 혹은 구조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베치그의 연구도 머너의 단일 분자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형광 단백질이 깜빡이는 과정을 밝힌 사람도 바로 머너였다. 그래서 머너의 노벨 화학상 수상은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