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2,6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근육계 희귀난치질환 학생 입학·졸업 축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환자는 일상생활조차 쉽지 않은 상황인데 적절한 호흡재활치료를 받으면 사회생활이
가능
하다. 강성웅 호흡재활센터 소장은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제한된 삶을 살았던 환자들이 호흡재활치료를 통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신경근육계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을 향한 선입견과 ... ...
[과기원NOW] KAIST 융합인재학부 1호 졸업생 탄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학위를 받는다. 정재승 융합인재학부장은 다른 학과에서 배출될 수 없는 ‘대체 불
가능
한 인재’들로 성적을 매기지 않는 제도 속에서 학점 이상의 역량을 보여준 이들을 격려했다. 2019년 재활보조기를 착용한 채 KAIST에 입학한 전기및전자공학부 이혜민 씨도 졸업한다. 입학 직전 무릎 인대 3개가 ... ...
AI로 불길 찾고 로봇이 불 끄고...소방관 지키는 과학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색상으로 온도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화염처럼 보이는 물체를 오인할
가능
성도 적다. 시스템이 화염을 구별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선 객체 탐지에 특화된 인식 알고리즘이 사용됐다. 'YOLOv7'이란 알고리즘은 대상의 탐지와 분류 작업이 동시에 이뤄져 인식 속도를 단축할 수 있다. ... ...
X선으로 관측한 우주 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우주론 벗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하며 얻은 성과다. 이로시타는 우주선이 회전하는 동안 광범위한 각도에서 관측이
가능
하다. 이렇게 관측된 데이터는 가장 정밀하게 우주를 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연구팀은 더 세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이로시타가 촬영한 사진과 칠레에 위치한 거대망원경이 촬영한 기존 우주 영상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개발했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주도한 차 교수는 “자연에서 유래하고 인체 내 분해가
가능
한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다기능 국소 접착지혈제의 우수한 지혈 성능을 확인했다”며 “실제로 환자 치료나 수술 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
소고기 들어간 쌀알, 국내 연구진이 개발…새 단백질 공급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쌀이 친환경적으로 지속 생산
가능
한 식품이라고도 설명했다. 소고기 단백질 100g을 생산하려면 50kg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데 하이브리드 쌀로 단백질 100g을 생산할 때는 6.27kg 미만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는 계산 결과가 도출됐다. 제품 ... ...
"침 한 방울로 유방암 진단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4.02.14
보도했다. 손바닥만 한 크기의 이 장치는 샘플 당 검사 시간이 5초 미만이며 재사용이
가능
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표적 암 생물 표지에 반응하는 특정 항체로 처리된 시험지에 타액 샘플을 떨어뜨리면 타액 샘플이 접촉하는 부위에 전기 펄스가 보내져 타액 속의 암 생물 표지가 항체와 ... ...
[과기원NOW] GIST, 값비싼 질화갈륨 반도체 '무한 양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편의 논문이 접수돼 수상 논문 115편이 선정됐다. 김규린 학생팀은 '빛의 색을 프로그래밍
가능
한 플라즈모닉 나노필터' 연구를 수행해 빛 조건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물체의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 KAIST는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자로 명현 ... ...
평생 반복되는 복통·설사…‘과민성장증후군’ 치료 유익균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파에시스 균주가 설사형 과민성장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가능
성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다. 김나영 교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선택에 있어서 남녀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추후 인체 대상 임상시험 연구를 진행해 현대인의 삶의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있어 퀀텀 점프를 이룬 연구”라고 평했다. 천진우 단장은 “정보의 프로그램화가
가능
한 클러치가 구현됐다는 것은 자율주행 자동차처럼 로봇이 스스로 주변을 감지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머지않아 진단이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나노로봇이 개발될 것”이라고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