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적일지도 몰라. 우리가 아저씨보다 먼저 세 번째 아이템을 찾아야 할 것 같아.” ●
개
념 퀴즈 : 자궁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면 월경을 한다. ( O , X ... ...
요로결석에 걸렸다면 놀이공원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있어 결석이 아래로 빠져 나오지 못했죠.Q 결석 환자들에게 이런 방법을 권유하나요?
개
인적으론 5mm 이하의 결석을 지닌 환자들에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특히 큰 결석을 충격파로 조각낸 후, 밖으로 배출되길 기다리고 있는 환자에게 적절하지요.하지만 환자에게 이 방법을 추천하진 않아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석을 채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탄소가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 만들어져요.다이아몬드 원석은 광물의 종류예요. 조
개
속 진주처럼 생명체가 만드는 보석과 달리, 지각 활동에 의해 만들어져 일정한 화학 조성과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광물’이라고 해요. 이중 아름답고 희귀하며 단단해 보석으로 쓰일 가치가 있는 것을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김현주 연구원은 기자단 친구들에게 물체의 감촉을 느끼는 터치패드 기술을 소
개
했지요. 보통 쓰이는 터치패드는 터치의 강도만 인식할 수 있어요. 그런데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에서 만든 터치패드는 닿는 물체의 강도와 함께 닿는 면적도 인식할 수 있지요. 물체가 닿는 면적과 힘 사이의 관계를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화면을 관찰하는 게 일반적이지요. 혼자서는 검진할 수 없었던 거예요. 호리우치 박사가
개
발한 셀프 대장내시경은 오른손으로 장비를 넣고 왼손으로는 버튼을 눌러 방향을 조작한답니다. ● 동물원에선 침팬지가 사람을 따라할까, 사람이 침팬지를 따라할까? - 가브리엘라 알리나(스웨덴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으로 만드는 예술 퍼즐램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어요. 적게는 9
개
부터 많게는 120
개
까지의 조각을 사용해 각기 다른 모양의 램프를 만들 수 있지요.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규칙으로 조각들을 연결해야 입체도형을 완성할 수 있다는 거예요. 이번 메이커 스쿨에 ... ...
달나라 여행 가이드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달나라에 온 걸 환영해. 달나라가 처음이라면 달나라 역사를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 가이드 투어를 추천할게. 약 50년 전 사람들이 달을 처음 찾아 ... 무인 달 탐사는 계속 이어졌어요. 올해부터 2020년까지 예정된 달 탐사 계획만 해도 10
개
가 넘지요. 달 탐사 경쟁은 아직 진행 중이랍니다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대해서는 길게 고민하지 않았어요. 다만 혹시나 사고가 생길 때를 대비해서 돔을 여러
개
로 만들어 각 구간마다 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만들었어요. 또 사람들이 살아가는 도시는 건물 형태보단 지하에 있는 것이 더 안전할 거라고 생각했답니다. Q 왜 아르테미스에서는 알루미늄에서 산소를 ... ...
인공지능이 축구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AI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축구 경기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코드를 공
개
했어요. 축구장과 선수, 공, 골대 등을 코드로 표현하고, 각각의 요소를 어떻게 작동시켜야 할지 기본 뼈대를 정한 거예요. 참가팀은 이 기본 코드를 다운로드 받은 뒤, 상황이나 팀의 전략에 맞춰 선수의 움직임을 ... ...
AI 해설 경기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열리고 있는 E-스포츠의 전문 해설가가 되고 싶어요. 그리고 저희만의 표현과 스타일로
개
성 있는 해설가가 되기를 꿈꾸고 있지요. 나아가 KAIST 학생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끼와 재능으로 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꿈을 키울 수 있다는 걸 보여 주고 싶어요. 앞으로 E-스포츠 해설가로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