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더 큰 그림도 그려야지요. ‘바이오닉 암’이라는 통합된 결과물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개발하게 될 세부 기술들, 그러니까 인체 친화적 전극 재료, 생체신호 처리 기술 등이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분명 기여할 겁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뇌리에 남아 기존과는 다른 방식, 예컨대 인간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기술을 개발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경계 대상 1호그는 장차 가장 걱정되는 기술로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꼽았다. “인간 동일성 문제가 불거질 겁니다. 인간이란 자유 의지에 따라 행동하고 결과에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를 하고 있어요. 이를 알아내면 병의 진행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요.그렇다면 이런 연구는 어떻게 할까요? 어떤 유전자가 암을 일으키는지 알려면 당연히 아픈 사람과 안 아픈 사람을 나눠서 봐야겠지요. 두 집단의 유전자를 비교하고, 무엇이 어떻게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밟았거든요. 1958년에는 수학을 토대로 인공지능의 기본 언어인 LISP라는 컴퓨터 언어를 개발했습니다.또 다른 근거로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딥러닝’을 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은 사람의 두뇌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만든 분석체계로, 수학 그 자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물고기를 필요한 만큼 기르는 일은 예전처럼 감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일은 이들이 직접 개발한 온실용 센서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몫이다. 전 대표는 어떻게 사람들에게 채소를 소개하고, 어떻게 채소를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도울지 고민하는 데 시간을 더 투자한다고 한다.룸메이트와 회사를 ... ...
- [과학뉴스] 옥시토신 스프레이로 식욕 억제한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프라지스카 플래소 교수팀은 옥시토신 호르몬을 코로 흡입할 수 있는 스프레이를 개발해 23~43세의 비만 남성 10명에게 실험했다. 음식 사진을 보고 식욕을 느끼는 정도를 스프레이를 뿌렸을 때와 가짜 위약을 섭취했을 때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스프레이를 뿌렸을 때 음식에 대한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환자 뇌의 미세한 전기신호를 컴퓨터를 거쳐 팔에 부착된 패치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은 환자가 컴퓨터 모니터를 보며 가상으로 손을 움직이는 훈련을 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알아냈다. 그리고는 활성화됐던 각각의 부위에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고기 아가미가 미세한 물질까지 걸러내는 원리가 밝혀졌다. 미국 윌리엄메리대 생물학과 로리 센데르손 교수팀은 신개념 필터에 적용할 수 있는 물고기 ... 만든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맥주나 유제품 제조 공정 등에 효율적인 여과 장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학계가 나서서 공급(신규 박사학위자)을 줄이고 수요(스태프 과학자 등 박사급 연구개발 일자리)를 늘렸어야 했는데,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그래서 1파트와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30대 중반의 가정까지 있는 박사급연구자 상당수가 학사학위만 받아도 충분한 일자리라도 얻으려 헤매고 있다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드웨어를 몰라도 훌륭한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고 컴퓨터의 원리를 잘 몰라도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처럼, 합성생물학도 컴퓨터처럼 분업화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도약의 기회를 제공했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현재 합성생물학에 이용되는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