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를 난로로 이용하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컴퓨터에서 무의미하게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하기 위해 흔히 쓰는 공랭식(공기로 식히는
방식
) 냉각장치 대신 수랭식(물로 식히는
방식
) 냉각장치를 사용했다. 물은 공기에 비해 열전도성이 4000배나 뛰어나 열을 훨씬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이렇게 데운 물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에 공급된다.이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탑승자가 산소통만 갖고 튀어나갈 수 있도록 이런 오픈카
방식
을 택했다. 이 때문에 수중에서는 운전자가 산소마스크를 쓴 채 운전을 해야 한다.스쿠바는 어떻게 물속에서도 달릴 수 있을까. 물속에서는 물의 압력 때문에 차를 조종하기 어렵다. 사고로 차가 물에 빠지면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관찰한다도플러 효과와 같이 주파수(周波數) 이동(移動)을 이용하는 인공위성의 추적
방식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항법 지상의 항행(航行) 원조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항행할 수 있는 자립항법(自立航法) 시스템의 하나이며 장거리의 해상비행에 알맞다파원(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나란히 두면 한쪽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다른 쪽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는 상호유도
방식
을 이용한 것이다.안경에 1차 유도코일을 장착하고 눈 안의 인공망막 칩에 2차 유도코일을 넣은 뒤 1차 유도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인공망막으로 전기신호가 전달된다. 눈 안에 넣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이 2차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방식
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증명됐지만 조류발전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해 어느
방식
이 유리한지 속단하기는 이르다. 이 본부장은 내년쯤 조류발전소를 완공할 목표로 4월부터 다시 울돌목으로 나갈 예정이다. 지난해의 실패를 딛고 한반도의 바다에 가장 적합한 시험 조류발전소부터 새로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변환시키고, 그 전력을 전기자 회로에 접속한 부하 저항에서 소비시키는 제동
방식
다이나트론(음저항)의 특성을 이용한 발진기 3극관이나 4극관의 그리드 또는 가리기그리드 전압을 양극(陽極) 전압보다 높이면, 양극에서 나온 2차 전자가 그리드나 가리기그리드의 역방향으로 흐름으로써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세혈관을 모방한 시스템에 혈액을 넣어 적혈구가 얼마나 통과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식
이다. 현재 연구팀은 당뇨병과 그로 인한 신부전증이 적혈구가 유연성을 잃게 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임상시험으로 확인한 상태다.적혈구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가장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생물의 기원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던진다.”어쩌면 곤충들이 택한 ‘삶’의
방식
에 대해 인간이 이러쿵저러쿵 간섭하거나 의문을 던지는 일 자체가 불필요한지도 모른다. 세심한 관찰자인 파브르는 그가 관찰한 곤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길 원했다. 모든 것을 원인과 결과로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직접 흘리는
방식
대신 몸을 사이에 둔 송신기와 수신기 양쪽 끝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방식
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몸에 실제로 흐르는 전류는 인체에 위험한 전류 크기(최대 1mA)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한 수준.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연구단체에 의뢰해 인체통신의 안전성을 시험하고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미리 대기하고 있던 구조대 헬리콥터가 착륙지점으로 날아가 우주인을 구조한다. 이런
방식
으로 지금까지 우주인 수백 명이 안전하게 우주에 다녀왔다.하지만 귀환 도중 대기가 불안정하거나 우주선 제어시스템에 이상이 생기면 예상착륙지점에서 벗어나 엉뚱한 곳에 불시착할 수도 있다. 불시착한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