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파동'. 관람자가 보턴을 누르고 소리를 내면 화면에 파동이 나타나며, 미리 녹음된
새
소리 음악소리 등의 파동의 모습도 비교해 볼 수 있다. 또 터보제트엔진 C-46엔진 등 엔진의 실물을 자세히 관찰하면서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돼있는데 무게 1.1t의 거대한 C-46엔진은 단면을 잘라 내부구조까지 ... ...
PART 1 인류진화의
새
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연결돼 진화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담」을 찾아서 아뭏든 분자생물학자들의
새
로운 이론에 대해 의심스러워하는 고고인류학자들은 꽤 많은 편이다. 이들의 화석에 대한 애착은 뿌리가 깊어보인다. 실상 몇가지 가설만 바꾸면 DNA시계에서 '이브'의 탄생을 수십만년 뒤로 돌려놓을 수 있다고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마다가스카르에 살고 있었다. 키는 10피트 밖에 안되지만 무게는 1천파운드에 달했다. 이
새
의 알은 알 중에서 가장 커서 2 1/3 갤론의 용적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타조알의 7배에 해당된다. 또는 곤충을 생각해보라. 길이가 7인치 무게가 3 1/2온스되는 풍뎅이(딱정벌레)가 있다. 그러나 3억년 전에는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영토의 확보란 이율배반의 두 개념이 혼재하고 있다. 이 속에 뛰어든 우리나라는 어떤
새
로운 연구과제를 택할 것이며, 결국 이들 연구가 국제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질것인가 주목된다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
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0여개나 된다. 또 이들 디자인회사에서 다년간 경력을 쌓은 중견디자이너들이 독립하여
새
로운 파워를 형성하고 있다는 소식이다.이탈리아 자동차디자인회사의 하나인 에우로디자인(Euro Design)을 예로 들어 보자. 이 디자인회사는 4개의 부문, 즉, 2개의 디자인실과 모델실, 엔지니어링부서로 구성돼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해가 지고 란드리아나솔로씨 일행은 텐트를 쳤다. 그가 램프에 불을 붙이자 놀란 앵무
새
들이 한꺼번에 소리를 질렀다. 그런 다음에는 나방이 램프를 향해 떼지어 몰려들어 뒤덮어버렸다. 지구상에서 4번째로 큰섬 마다가스카르는 그 자체가 하나의 대륙을 이루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1억5천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했지만 결과는 부정적이었다. 보이저(Voyager)1호와 2호의 발견은 아직도 우리의 기억에
새
롭다. 보이저 2호는 1977년8월20일에 발사되어 79년7월9일에 목성 가까이 64만km까지 접근했고 81년8월25일에는 토성 10만km까지 접근했다. 1977년 9월5일에 발사된 보이저 1호는 79년3월5일 목성에서 27만6천4백km까지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비싼 이식용 손발이라는 한 피아니스트의 손을 이식받았다. 한사장은 길고 부드러운
새
손가락이 마음에 들었고, 그래서 그 피아니스트의 오른손도 원했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다른 사람에게 기증되어 버렸다. 1990년대에는 약물 칵테일과 이식 기관들에도 불구하고 죽음이 여전히 85~90세 사이에 ... ...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는 종합정보망(WINS)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달라졌는데
새
단장된 내용은 어떤 것입니까? "아무래도 추가된 기능이 많으니까,
새
술을
새
부대에 담기 위해서랄까요. 아시안게임의 INS(Integrated Network Service)가 일본의 고도정보통신시스팀과 이니셜이 같아서 혼동을 일으킬 경우도 있고요. WINS의 가장 중요한 변화는 고유기능인 전자우편서비스의 .. ...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짓게 된다) 낱말의 숱이 늘어나게 된다. 즉 (그림7)의 아래쪽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새
로운 낱말들이 사전에 올려진다. 늘품에서는 빈자(blank)로 마디진 글자의 모임을 한 단위로하여 받아들이며 이것을 우선 사전에 있는 낱말인지를 찾아보고, 있으면 그 낱말이 시키는 일을 따른다. 그러나 사전에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