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인해 폐허가 됐다.지금까지 살펴본 지진의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지진 에너지의
크기
로 나타낸 방법이다. 하지만 실제로 지진을 겪는 사람에게는 규모보다 몸으로 느끼는 정도와 땅 위의 피해 정도가 더 와 닿는다. 그래서 탄생한 척도가 ‘진도’다.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진도는 다르기 ... ...
[Sports Math] 골프, 핸디캡 얼마면 타이거 우즈 이길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묘미를 아는 사람이라면 이때부터 더 재미를 느낀다. 2타를 줄였을 때(이글)의 쾌감이 더
크기
때문. 코스의 최적 경로를 계산해내면 파4홀과 파5홀에서 2타를 줄일 수 있다. 특히 개 다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도그레그’ 라 불리는 코스는 처음 공을 치는 위치에서 홀까지의 직선거리가 짧아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3-16, Vi33-25, Vi33-26.손가락만 한
크기
의 뼈 세 개에 인식표 번호가 선명하다. 1980년 지중해 동쪽 크로아티아의 빈디야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의 유골. 4만여년의 긴 시간을 동굴 속의 차고 건조한 공기만을 마시며 견딘 끝에 다른 인류의 손에 수습됐다. 기구하다면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4세대 방사광 가속기가 만들어 내는 빛은 X선 레이저로 수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
의 극미세 구조를 살펴볼 수 있고, 펨토초(1000조분의 1초)정도인 극히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일도 포착해 낼 수 있다. 이 정도 시간이면 원자 두개가 합쳐져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내는 순간까지도 관찰할 수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웨이퍼 위에 나노가공장비인 ‘집속이온빔’을 이용해 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크기
로 자신의 이름을 새겨보는 시간을 가졌다.김도연 군(한국과학영재고 2학년)은 “200만 달러(약 22억 원)에 달하는 실험 장치를 직접 다루다니 꿈만 같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이 밖에 수술로봇체험,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을 경우 방어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냄새뿔로 적극적 방어를 한다. 거의 10cm 이상인
크기
로 눈에 잘 띄면서도 잡혀 먹히지 않고 왕성하게 번성하는 이유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방어 전략을 갖고 있기 때문인지 700여 종 이상의 많은 나비가 전 세계 어디에나 살고 있다. 잡아먹을 힘이 있는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설립돼 직접 반도체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어떻게 엄지 손톱보다도 작은
크기
의 반도체 소자에 신문지 몇 만매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지 궁금했다. 본격적으로 반도체를 공부할 생각으로 ‘마이크로시스템 및 나노 기술 연구실’의 문을 두드렸다.연구실에서 반도체를 공부하다가 반도체 ... ...
통합과학-속도에 따른 입자들의 운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와 산소에서부터 대기 밖에서 지구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인공위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하며 속도의
크기
에 따라 그들만의 운동이 결정된다. 이러한 입자들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물리량에는 무엇이 있을까?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만들어 물건을 나를 때도 편리하다.③ 건강 팔도 튼튼해지는 자전거사람은 비슷한
크기
의 네 발 달린 동물보다 달리는 속도가 느리다. 두 발로 뛴다는 한계 때문이다.자전거는 사람의 발 대신에 둥근바퀴를 이용해 운동의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위대한 발명품으로 인정받는다. 하지만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이티오피쿠스는 오늘날의 고릴라와 비슷한
크기
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디오피쿠스의 몸은 겨우 고릴라의 4분의 1정도에 지나지 않았다.이는 몸집은 작은데도 고릴라만큼 씹고 먹어야 겨우 몸집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그만큼 먹거리의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