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대표 사례다.구글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를 포함한 페이지 중에 실제로 영향력이
큰
페이지를 먼저 볼 수 있다. 중요한 문서를 골라내는 알고리즘인 ‘페이지랭크’ 덕분인데, 페이지랭크 이전에는 단순히 검색어가 가장 여러 번 나오는 순서대로 페이지를 볼 수 있었다.페이지의 영향력을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함께 1961년 교토에서 열린 국제자기학회에서 ‘이즈야마-김-구보 이론’을 발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이즈야마-김-구보 이론은 자석과 같은 금속 강자성체가 자성을 나타내는 데에 전도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론이다. 강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석이 됐다가 외부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물리친다 스페이스 파이럿츠옛날에는 해적이 나오는 영화와 만화가 인기였습니 다.
큰
배를 타고 풍랑을 가르며 약탈하는(?) 악당이 꽤 매력적이었대요. 당시 테마파크에는 커다란 배가 그네처럼 움직이는 ‘바이킹’도 있었습니다. 특히 무중 력 상태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맨 뒷자리가 인기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가슴장식에 사용된 여러 보석 중 하나가 리비아사막유리다(위 오른쪽 가운데의
큰
보석).스마트한 레시피로 문명의 주도권을 좌지우지한 인류의 유리인류가 유리 만드는 방법을 알아낸 것은 기원전 1500년 경이다. 사막에서 모닥불을 피워 요리를 하던 중에 우연히 모래가 불에 녹으면서 생긴 투명한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나타낸다.-➍번부터는 얼음 위에 물을 부은 뒤 나타나는 현상이다.-얼음보다 밀도가
큰
물이 얼음 밑으로 들어가면서 얼음이 떠오르고 얼음에 낀 돌도 함께 떠오른다.-이후 ➓번까지는 얼음이 서서히 녹으면서 돌이 바닥으로 떨어진 모습이다. 얼음 뗏목 타고 물웅덩이 위에서 ‘씽씽’항해하는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빈 공간에서 마그네슘과 칼슘 성분이 침전되면서 결핵체들이 자라기 시작한 거예요.가장
큰
2.7m짜리 결핵체가 자라는 데는 약 550만 년 정도가 걸렸을 것으로 보여요. 일부 결핵체들은 성장 과정에서 표면이 크게 갈라졌고, 그 사이를 석영이나 방해석이 메우면서 마치 거북이 등딱지 같은 무늬를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한답니다. △우주 방사선은 지구의 대기와 자기장에 충돌하면서 분열한다.에너지가
큰
우주 방사선은 분열 후 지상으로 비처럼 쏟아져 내리기도 하지만(위 그림),대부분은 지구 대기에서 흡수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 ...
미션! 소파를 옮겨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바뀐 문제들도 그렇다. 기존보다 면적이 더 넓은 도형이 발견되고 있을 뿐, 가장
큰
도형은 무엇인지 아직 모른다. 그 말은 누구라도 문제 해결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쉬워 보이지만 풀기 어려운 난제, 소파 움직이기 문제는 누구의 손에 풀릴까? 그 주인공이 하루빨리 나타나길 기대해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수학과 상상’이라는 책을 통해 수학 용어와 이론을 재미있게 설명했어요. 책에서
큰
수와 무한대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10100이라는 수를 떠올린 카스너는 이 수에도 알기 쉬운 이름을 붙이고 싶었어요. 어느 날 함께 산책하던 조카가 지어준 이름이 재미있어 그대로 책에 실었는데, 그 이름이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해결하는 힘을 길렀기 때문이다.특히 바둑의 ‘복기’가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 복기란 게임이 끝나고 실수한 데는 없는지, 돌을 다르게 뒀더라면 결과가 어떻게 달라졌을지 알아보기 위해 처음부터 돌을 다시 놓는 것이다. 방 교수는 “퍼즐과 수학 문제를 풀 때도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