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7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의 인체·영장류 모델로 전자파·방사선 영향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흡수율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급성 방사선에 대한 신체 부위별 영향력 파악 등 인체
반응
과 대응 방법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성인 남녀 전신 모델 데이터는 1mm 이하 간격으로 인체를 정밀 해부하는 영상을 토대로 모델링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머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500회)항우울제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까
2020.12.15
지난달 강력한 차세대 우울증 치료제가 국내에서 출시됐다. 이 약은 기존 약물에 제대로
반응
하지 않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TRD) 환자의 치료에 쓰인다고 한다. 참고로 TRD 환자의 자살률은 일반인의 20배에 이른다. 무려 30년 만에 완전히 새로운 메커니즘을 지닌 항우울제 신약이 나온 것이라고 하니 ... ...
국내 연구팀 "코로나19 감염됐다 회복하면 면역세포 기능 되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정보가 사실과 다름을 증명했다”며 “코로나19에서 회복한 사람에게서 기억 T 세포 면역
반응
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것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면역 10일자로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팀. 대한감염학회 제공 ... ...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3차원 프린팅으로 배를 제작하고 금속으로 코팅했다. 배가 과산화수소 용액과 만나면
반응
을 일으켜 배를 밀어내는 가스를 생성한다. 보스턴어린이아동병원 제공 탈모는 해결될 수 있을까. 칼 쾰러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와 이지윤 연구원은 모든 유형의 세포로 발전할 수 있는 ‘다능성’ ... ...
복잡한 반도체 공정, 빛으로 간단하게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전자계 연구단 부연구단장은 “2차원 반도체에 필수적인 도핑 과정이 빛과 물질의 광화학
반응
으로 간단히 이해될 수 있음을 보였다”며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은 새로운 반도체 기술을 연구하는 이상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
2020.12.15
조건에서도 82.5%의 수득률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득률은 투입한
반응
물 대비 생성물의 양을 나타낸다. 하버-보슈법은 대기압의 약 200배, 450도 고온에서 25%의 수득률을 가진다. 기존 공정보다 압력은 200분의 1로, 온도는 10분의 1로 줄이면서 수득률은 약 3배 높다. 복잡하고 큰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항체 못만드는 환자에겐 치료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분석했다. 버클랜드 교수는 “이번 사례는 증상이 바이러스로 인해 나타난 것인지 면역
반응
의 결과인지를 보고 환자별로 맞춤 치료를 수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 준다”며 “이러한 임상 접근법으로 렘데시비르를 가장 잘 사용하는 방법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19 자가격리 위반 '처벌강화' 불필요한 규제였다" 국내 연구팀 효과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유 교수는 “자가격리 위반이 이슈화되면서 정부 측에서 여론에
반응
을 보여야 해 대응 수위를 올린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근거 없이 규제를 마련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
코로나19 백신 효과 인구 40% 이상 접종시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화이자 연구원이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화이자 트위터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영국과 ...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0.63%에 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접종 초기에 불거진 알레르기
반응
외에는 아직 이렇다 할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 ...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화학소재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최영민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늘리거나 굽히는 변형에
반응
해 스스로 전기를 생산해내는 새로운 정전기 소재를 개발했다고 이달 14일 밝혔다. 자가발전은 몸에 장착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충전 없이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신소재 분야에서는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