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39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차세대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이
우주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미
우주
군과 함께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 아레시보 천문대에서는 전파망원경 붕괴에 따른 피해를 수습하기 위해 현장의 잔해를 처리하고 환경을 복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
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가스의 양을 늘렸을 수 있다는 것인데, 이런 퀘이사를 연구함으로써 빅뱅 이후 초기
우주
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이 등장할 수 있었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극대망원경(ELT) 등 첨단 망원경이 가동되면 P172+18과 같은 전파가 밝은 퀘이사를 더 많이, 더 멀리서 ... ...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인터넷 기업 원웹과 823억 원 규모 안테나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대표는 “그동안 쌓아온 기술력과 제품 확장성을 바탕으로 새롭게 열리는
우주
인터넷 시대에서 최고의 위성 안테나 기술로 미래 신성장 동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
혜성 '카탈리나' 먼지 꼬리서도 '생명체 원소' 탄소 확인
연합뉴스
l
2021.03.08
학술지 '행성과학저널'(Planetary Science Journal)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NASA와 독일항공
우주
센터(DLR)가 보잉 747기를 개조해 운영하는 '성층권적외선천문대'(SOFIA)의 적외선 장비를 이용해 지구를 1억1천만㎞까지 접근해 지나간 카탈리나의 먼지 꼬리를 관측했다. 혜성 카탈리나는 태양계 끝 오르트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집약체”라며 “천문연은 세계 최대 망원경 개발 및 건설 참여를 통해 차세대 천문
우주
과학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천문학 연구에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거대마젤란망원경기구(GMTO)는 글로벌 파트너 기관을 대표해 GMT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구다. ... ...
전 세계 데이터의 90%가 ‘이것’…DGIST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데이터, 사용자에게 필요한지 알 수 없어 활용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이르는 말이다.
우주
의 2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으며 느낄 수도 없는 존재인 암흑물질(dark matter)에서 이름을 따왔다. 대구 달성군 현풍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캠퍼스에는 이런 암흑 ... ...
한화그룹 ‘
우주
산업 종합상황실’ 출범…김동관 사장이 지휘
연합뉴스
l
2021.03.07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자세로 개발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향후
우주
산업 시장 규모가 민간기업 주도하에 2040년 약 1조1천억 달러(약 122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 ...
“4m 전진 후 150도 틀어 2.5m 후진”…NASA 화성 로버 첫 주행시험 성공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덧붙였다. 지금까지 퍼시비어런스는 지구에 7000장 이상의 사진을 전송했다.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화성 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가 로봇팔을 작동하는 모습도 공개했다. 퍼시비어런스의 로봇팔은 굽히거나 회전하는 등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이 이 사진으로 확인됐다. NASA/JPL-Caltech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아닌지 의심스럽다. “
우주
와 인간의 어리석음, 오직 이 두 가지만이 무한하다. 하지만
우주
가 무한한지는 확신하지 못하겠다.” 《휴먼 네크워크》를 쓴 매슈 잭슨 교수는 천재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명언을 들어 집단 지성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아인슈타인 혹은 아인슈타인의 ... ...
SF영화 '승리호' 속 기술 2021년 어디까지 왔나
수학동아
l
2021.03.06
확인하자. ※관련기사 수학동아 3월호,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2103N010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