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뉴스
"
프로젝트
"(으)로 총 3,78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국내에서는 일제 강점기 시절 시멘트로 보강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한 뒤 에틸실리케이트와 동일한 석재 등을 이용해 복원하는 작업이 2016년까지 진행될 ... 1995년부터 석재나 기후환경이 비슷한 일본과 석조문화재 보존과 복원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소속의 김기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아바타
프로젝트
’를 선보였다. 한 연구원이 팔꿈치 바로 아래에 특수 밴드를 차고 팔을 움직이자 화면에 떠 있던 캐릭터가 아바타처럼 그의 동작을 따라했다. 이 밴드에는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스토리’로 불리고 있다. ‘사이언스 빌리지 스칸디나비아(Science Village Scandinavia·SVS)’
프로젝트
덕분이다. 스웨덴 남부 소도시 룬드에 조성 중인 ‘사이언스 빌리지 스칸디나비아’ 조감도. - 사이언스 빌리지 스칸디나비아 제공 ● 작은 대학도시가 이룬 성공 스토리 “룬드대가 운영할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
2014.10.23
것이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2006년 한국-몽골 공룡탐사
프로젝트
를 시작하며 막연히 신종을 발견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3년 뒤 한 지층에서 데이노케이루스의 앞발 일부가 보존된 화석을 발견했다. 다만 화석에는 머리와 발이 없었으며 등뼈도 모두 망가진 ... ...
데이비드 코스마이어 NASA 에임스연구소 국장
2014.10.21
전문가로서 이 일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잘 알고 있다. 한국이 더 많은 우주항공
프로젝트
를 통해 이 분야에서 더 많은 발전이 있기를 바란다. -에임스연구소에서 일하며 느끼는 즐거움이 있다면. 아이디어 내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늘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무척 즐거운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진행 중이다. 네이처는 수업 방식을 개혁하는 KAIST의 ‘에듀케이션(Education) 3.0’
프로젝트
에도 주목했다. Education 3.0은 교수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한국 대학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실험적인 수업 방식이다. 모든 학생은 온라인 강의로 이론과 문제를 공부하고 수업에 ... ...
미드 ‘맨하탄’의 장수를 기원하며
2014.10.19
뉴욕 맨해튼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같지만 1940년대 진행된 핵무기 개발 계획 ‘맨하탄
프로젝트
’를 다루고 있다. 드라마의 배경은 1942년 미국 뉴멕시코 주 로스앨러모스로, 독일이나 일본과의 전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미국과 영국 캐나다가 핵무기 개발에 갓 돌입한 시기다. 황야 가운데 급조한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킹스칼리지 등 6개 기관이 7억 파운드(약 1조7000억 원)를 공동 출자해 대규모
프로젝트
로 발전시켰다. 스미스 소장은 2009년부터 크릭 연구소 용지 선정과 건물 설계 등 주요 사항을 결정하는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는 크릭 연구소 위원회 위원이다. 그는 “크릭 연구소의 목표는 최고의 ... ...
국내 첫 도심 연구소 IBS, 2017년 문 열어
2014.10.17
건물 곳곳에 녹아 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에도 도심형 과학연구소
프로젝트
가 진행 중이다. ‘과학 도시’ 대전의 엑스포과학공원 자리에 들어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국내 첫 도심형 과학연구소로 꼽힌다. IBS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 과학 연구 산실이 되겠다는 당초 목표에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관심을 갖게 되고 대학의 유명한 교수인 전기생리학자 페르 안데르센에게 찾아가 연구할
프로젝트
를 달라고 졸랐다(대단한 학부생들이다!). 당시 기억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뉴런 활성을 연구하고 있던 안데르센 교수는 성가신 이들에게 해마를 얼마나 절제해야 새로운 환경을 더 이상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