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5,056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10
나중에 높이 평가돼 전자통신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마르코니상을 수상했고, 오늘
날
엔 ‘클라크상’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클라크가 “나의 통신위성 아이디어에 특허권이 있었다면 지금쯤 갑부가 됐을텐데”하며 껄껄 웃어넘긴 일화는 유명하다.SF 작가로서의 아서 클라크는 ‘정통파’로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10
알크한젤스크 공항에 도착한 우리를 맞는 이가 있었다. 그는 우리와 공동연구를 떠
날
러시아 극지연구소의 유리 구도쉬니코브 박사였다. 이곳 기온은 15℃, 하늘은 청명했다.8월 1일부터 26일간 러시아 바렌츠해와 카라해 북극지역을 탐사하기 위해 우리는 러시아 기상청 소속 1천t 가량의 쇄빙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자라면서 익숙해진 편견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며 상식을 깨는 새로운 이론이 나타
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험을 통한 검증이 불가능하더라도 수학에 의존해 우주의 기본 법칙에 관한 완전한 이론을 찾아 낼 수 있다는 것이다.강연을 마치고 청중들의 박수를 받으며 다시 힘겹게 휠체어를 움직여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10
복사식을 제안했다. 플랑크는 이 식을 1900년 10월 19일 독일 물리학회에서 발표했다. 같은
날
루벤스와 쿠를바움은 플랑크의 이 식을 언급하면서 자신들이 긴 파장의 영역에서 빈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분명한 실험적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이때 그들은 빈의 법칙이 높은 온도와 긴 파장 영역에서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10
계속된다.실내에서는 안경, 실외에서는 선글라스여름이나 가을 중 눈부심이 강한
날
에는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야외에서 선글라스를 쓰고 다닌다. 하지만 안경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시력을 보정해주는 선글라스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생긴다. 더욱이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09
지난 8월 지구 밖에서 10개의 행성을 무더기로 발견했다는 소식이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제24차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알려졌다. 스 ... 존재 가능성에 한걸음 다가가게 되지 않을까?어쩌면 이들 행성에서 외계의 신호를 만
날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하는 것이 허황된 꿈만은 아닐 것이다 ... ...
2. 극한 조건 실험 대행 핵폭발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009
않고도 여러번 실험해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소핵융합을 이용한 대체에너지가 개발될
날
이 더욱 가깝게 되지 않겠는가.이를 실현하기 위해 1995년 미국 에너지부는 인텔사와 합작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강력한 슈퍼컴퓨터 개발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연방예산 총 4천6백만달러(약 5백억원)가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본 대로 인식했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거리의 야바위꾼에게 속아 주머니 돈을 다
날
려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착시의 원리는 마술사들에게서도 자주 사용된다. 착시는 크게 두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그중 하나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연구돼온 흔히 말하는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9
한명이 백시로 시야가 어지럽게 되자 불과 2m 앞의 바다를 보지 못하고 빠지고 말았다. 이
날
기온은 영하 22℃로 극지에서는 비교적 기온이 높은 편에 속했다. 그러나 동료들의 도움으로 겨우 건져 올려지자마자 온몸이 동태처럼 꽁꽁 얼어버렸다. 동료들은 얼른 대원의 옷을 벗기고 알몸이 된 대원의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09
즉 보름달이 나타났을 때 발생했던 사건만을 기억하는 것이다. 또 이런 사건은 매스컴(옛
날
같으면 입소문)을 통해 널리 알려진다. 따라서 보름달의 영향은 과학과 비판에 무지한 사람들의 선택적 기억과 매스컴이 공조해 확대재생산한 작품인 것이다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