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9,262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빛은 쨍쨍 지구는 반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4
이 곳에서 피부를 구리빛으로 태워 보고 싶지 않으세요? 미국항공우주국(나사) 이
최근
‘세계햇빛지도’를 공개했어요. 이 지도는 미국과 유럽의 위성을 통해 1983년부터 20년 이상 자료를 모아 만들었어요. 한 마디로 햇빛이 지구의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치는지 알려 주는 지도죠. 사하라 사막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4
닥터고글은 묻지도 않은 울릉분지 이야기를 하는 코피필드가 왠지 의심스럽다.“
최근
에 우리나라 동해의 울릉분지 3개 지점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어요. 130m에 걸쳐 있을 정도로 많답니다.”“가스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발견된 게 왜 화젯거리죠? 다이아몬드라면 또 ... ...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코스타리카와 협력하여 유용한 생물자원을 찾고 있다.고대 이집트의 완두콩을 싹 틔우다
최근
국립수목원은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3300년 전의 완두콩을 싹 틔우는 데 성공했다. 이 완두콩은 현재의 완두콩에게는 없는 유전자를갖고 있어 앞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식물의 ... ...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있어 잼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예전에는 해열이나 소화불량 등에 약으로 쓰기도 했다.
최근
우리나라의 동아제약이 다래를 이용해 아토피 치료제와 천식 치료제를 개발해 현재 임상실험을 하고 있다. 속 쓰릴 땐 쑥!단군신화에서는 곰이 마늘과 쑥을 100일 동안 먹고 사람이 됐다. 하지만 ... ...
Parrt I 생물자원 훔쳐가는 생물도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주민들은 수백 년 전부터 이 식물을 두통과 불면증 약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
독일의 한 제약회사가 펠라르고늄 추출물질로 만든 약에 대한 특허를 주장하고 나섰다.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장사꾼이 챙기는 셈이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한국산구상나무는 서양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가장 ... ...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제임스 톰슨 교수와 일본 교토대학교 야마나카 신야 교수님은
최근
각각 다른 방법으로 피부 세포를 배아줄기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두 연구팀은 피부 세포에 네 가지 유전자를 넣어 배아줄기세포로 바꿨어요.그 동안 배아줄기세포를 얻으려면 난자를 ... ...
세계를 바꾼 101가지 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만든 최고의 발명품은 무엇일까요?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최근
‘세계를 바꾼 101가지 발명품’을 선정해 발표했어요. 알파벳 순서로 발명품을 늘어놓았는데 첫머리는 170년경 중국에서 나온 주판(Abacus)이 차지했죠. 아르키메데스의 스크루 펌프, 아스피린이 뒤를 이었어요. 마지막 발명품은 191 ... ...
초등학생 과학영재 늘어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12년에는 초등학생 100명 당 1명 이상씩 국가 과학영재로 발된대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최근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을 의결했어요. 앞으로 과학영재 발굴을 확대하고 육성한다는 계획이지요. 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까지 전국 초·중·고교 학생 중에서 평균 0.7%를 과학영재로 ... ...
암 쏘는 마법 총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박사팀은 건강한 세포는 건드리지 않고 암 세포만 파괴하는 항체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어요. 그 동안은 암 환자에게 항암제를 많이 주사했는데 항암제는 정상 세포와 암 세포를 함께 공격해 몸에 많이 해로웠어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암 세포를 파괴하는 항체에 보호막을 씌워 마치 ... ...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히로시마대학교 수미다 마사유키 교수팀이
최근
내장이 훤히 들여다보이는‘투명 개구리’를 깨어나게 했어요. 연구팀은 일본갈색개구리의 두 돌연변이를 이용했어요. 이들은 정상 개구리보다 피부색이 옅었어요. 하나는 피부색을 띠게 하는 세포인 멜라닌색소포가 비정상이었고, 다른 녀석은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