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많은 원소를 찾아내기도 했다.1820년 덴마크의 물리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는
다시
한번 전기와 자기 연구에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그는 우연히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놓인 자침이 흔들리는 현상을 보고 전기와 자기가 서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써 전기와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조직의 이름은‘까마케롬다만드러’. 이제는 그 검은 조직이
다시
썰렁 홈즈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번과는 다른 그림자 문제로 승부를 걸어 온 것이다.
다시
위기에 처한 썰렁 홈즈. 과연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가 ... 20㎝씩 움직인다. 책상의 오른쪽 맨 끝에 양초가 오면
다시
같은 시간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오랜 기간, 길게는 20년까지 살아 있다가 수명이 다해 죽으면서 각종 증상을 일으킨다.
다시
말해 지금 누군가가 유구낭미충증 환자로 판명된다면 그건 20년 전에 남보다 먼저 먹으려고 불그스름한 삼겹살을 먹은 탓이지, 몇 달 전에 가족끼리 먹은 삼겹살 때문은 아니다.그러니 안심하시라. 삼겹살은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상이 아니었다.지구 온난화의 신호가 극 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이 변화가
다시
지구 전체의 기후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 50년 동안 북극의 겨울 평균 기온은 무려 10~15℃나 높아졌다. 1970년대초와 비교하면 북극해를 덮고 있는 얼음의 두께가 30% 이상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골랐다. 그 중에서도 운동한 뒤 몸의 말단으로 가는 피가 많고 맥박이 강한 사람을
다시
추렸다.그런 다음 이렇게 선택된 사람의 팔뚝을 끈으로 묶었는데, 이 때 가능한 세게 ...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가르칠 때도 심장에서부터 피가 흘러 온몸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형을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박씨가 무턱대고 앉자 가상공간 속 자리 주인인 아바타가 등장해 화를 내기 시작했다.
다시
‘사람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를 선택하자 다른 아바타들이 어색해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주어진 상황을 해결할 적절한 답을 고를 경우 다음 과제로 넘어가지만 그렇지 못하면 틀린 답이 불러올 상황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줄의 글보다 한 토막의 수식이, 지루한 궤변보다 간단한 실험이 더 믿음이 갔다.20세기 초
다시
한번 과학혁명의 바람이 불었다. 섬광처럼 나타난 아인슈타인은 뉴턴의 절대법칙을 ... 2배로 예측했으나, 1975년 2년에 2배로 수정. 이후 인텔 경영진이었던 데이비드 하우스가
다시
18개월에 2배로 수정.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반응을 측정했다.감성 반응 조사 결과 1장당 평균 60개의 형용사 어휘가 추출됐으며 이를
다시
분류해 모두 16가지 감성으로 요약했다. 촬영기법에 따라 나타나는 감성을 분석한 결과 피사체 윤곽선의 선명함과 셔터속도, 피사체 위치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색의 채도와 대비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 있게 도와준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내유모세포가 청신경으로 전달한다. 청신경은
다시
뇌간에 있는 청신경핵에 정보를 전달한다. 궁극적으로 소리 정보는 뇌의 양측 측두엽까지 ... 새소리가 나는 곳으로 고개를 돌리는 것은 양쪽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한쪽 귀에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브라마굽타의 서적과 함께 인도의 숫자가 아라비아로 건너와 여러 모로 개량되어
다시
유럽으로 전달되어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로 진화된 것이다 1859~ 1927 스웨덴의 물리화학자 17세 때 웁살라 대학에 입학하고 학위논문의 테마로 물리학을 택했으나 지도교수와 뜻이 맞지 않아 18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