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의 움직임이다.남극의 빙대는 크게 동부빙대와 서부빙대로 나누어지는데 동부빙대는
땅
과 붙어 있어 거의 부동이지만 서부빙대는 조금씩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서부빙대의 넓이는 인도대륙 크기 정도이고 만약 이것이 붕괴되고 이동해서 완전히 녹아버린다면 지구의 해수면은 5m 이상 높아질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아름다움에 꿈이 아닌가 하며 감탄했다고 전해지고 있다.그로부터 2년 뒤 코르테스는 이
땅
을 완전히 정복하고 멕시코시를 건설하였다. 이교도의 '악마의 문화'를 말살하고 그 자리에 기독교문화를 구축한 것이다.새로 건설된 도시는 중세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아니라 소칼로광장을 중심으로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비스듬하게 누어 있는데도 똑바로 서있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착각하기 쉽다. 발끝이
땅
에 닿을 때에야 비로소 몸의 위치가 비스듬하게 놓여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는 심부지각계가 몸의 균형유지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요컨대 신체균형을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3가지 메커니즘 ... ...
파동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좁아진다.9. (2)지진파는 부드러운
땅
속을 지나가며 지진파의 에너지는 암반과 부드러운
땅
이 만나는 부분에 집중된다.10. (1)여러가지 단순파동을 중첩하면 복잡한 모양의 파동을 만들 수 있다 ... ...
몸무게 2배의 3배체 동물 슈퍼닭 탄생되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방법으로는 인류의 풍족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따라서 주어진 면적의
땅
에서 더 많은 곡식을 생산하고 한마리의 가축에서 더 많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되나 종래의 기술로는 목적달성이 어렵다. 과학자들은 생물의 유전물질을 변화시켜 생산량이 많은 새로운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죽어가기 시작한다.아, 이
땅
은 어느덧우리들의 육자배기
땅
이 아니라핵의
땅
이 되고 말았다."「무뇌아」논쟁을 계기로 살펴본 방사능과 인체 피해허용량 이내의 방사선이라도 암발생이나 기형아출산을 일으킬 수 있나? 체르노빌사고후 소련 전역을 휩쓸었던 '방사능 공포 증후군'이 최근 ... ...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붉은 기를 띤 담황색이고 잎자루가 짧습니다. 색이 붉으스레하게 변한 이유는 홍도의
땅
색깔을 닮은 때문이고, 자루가 짧은 까닭은 방풍할 데가 없어 환경변이를 일으켰다고 보아야 해요. 청개구리도 빨간통에 넣으면 빨갛게 되지 않아요?장익:충북에는 바다가 없으므로 대신 산을 자주 답사했어요.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하는 일을 남이 손대는 것을 싫어하며, 남이 잘하는 일에 질투심이 강하여 '사촌이
땅
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은 소음인에게 어울리는 속담이다. 마음이 다소 편협한 면이 있어 한번 꽁하면 여간해서 풀어지지 않고 남에게 인색한 면이 있다.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지조를 버리는 기회주의자의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인디언과의 영토지배권 다툼이 큰 원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이유는 그
땅
에서 살고있는 들소를 지키려는 인디언들의 본능이 작용했기 때문이다.사실 인디언들에게 있어서 들소는 의식주의 모든 것을 제공해주는 생존자원이었다.들소고기는 주식으로 쓰였고 가죽은 유일한 주거인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여건이 국내에서는 되어 있지 않았다.비중컸던 과학저널일제 식민지시절 이
땅
에는 공우(1925) 문명(1925) 신발명(1927) 과학(1929) 백두산(1930) 과학조선(1933) 조선발명계(1937)등 여러 과학잡지들이 뒤를 이어 창간 되었으나 재정이 빈약하고 필자를 얻기 어려워 ‘과학조선’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