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소자인 마이크로 거울. 그는 마이크로 거울을 처음 봤을 때 수많은 거울 조각으로 태
양
빛을 반사시켜 적군의 배를 불태웠던 아르키메데스를 떠올렸다. 박 교수는 마이크로 거울을 응용하면 좋은 발명품을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마이크로 거울이 각도를 움직여 초점거리를 바꾸는 작업을 ... ...
[생물]최적의 현미경, 최적의 온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H는 음의 값을 갖고, 흡열 반응은 반응 물질의 엔탈피가 생성 물질보다 작으므로 △H는
양
의 값을 갖는다. 두 원자 사이의 결합을 끊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결합 에너지라고 한다. 다음은 단일 결합이나 다중 결합의 결합에너지 값을 나타낸 예이다. (단위: kJ/mol). C-C:346.1 N-H 391.8 C=C:615.9 결합이 ... ...
Vertical Farming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방법을 통해 전통적 농업에서 사용하는 물의 단 5%만 가지고도 보통 농장에서 수확하는
양
보다 에이커당 15배나 많은 상추를 수확할 수 있었다. 데스포미어 교수의 계획은 더욱 원대하다. 그는 햇빛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투명한 벽으로 만든 도시한 블록 면적에 30층 높이인 수직 재배 농장 모델을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996년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한 이래 지금까지 복제에 성공한 포유류는 20여 종에 이른다. 이제 동물복제는 생명과학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 잡으면서 바이오혁명을 이끌고 있다. 당뇨병을 비롯한 현대인의 질병을 극복하는 데 복제기술이 없어서는 안 되고 마약탐지견이나 우량 한우같이 우수한 형질을 ... ...
속 타고 긴장된 기상예보 1박 2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5시 예보를 앞두고 국가기상센터 안은 낮과 다름없이 분주하다. 생각보다 한파가 심한 모
양
이다. 어젯밤 10시부터 두 차례에 걸쳐 한파 특보가 발표됐다.1월 15일 07:50하루가 지나고 다시 아침 브리핑 시간. 윤성득 예보관은 “오늘 아침 최저기온이 올 겨울 들어 가장 낮은 지역이 많다”고 전달한다.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룬다. 꽁치의 주광성을 이용한 봉수망 어법은 기다란 봉을 사용해 그물을 보자기 모
양
으로 펼쳐 놓고 불빛으로 꽁치 떼를 유인해 그물 속으로 몰아넣은 다음, 갇힌 물고기를 손그물이나 펌프를 사용해 퍼 올리는 방식이다.일본이나 러시아 수역에서는 봉수망 어업이 성행하지만 우리나라 연해에서 ... ...
통합 지식과 사고력이 평가 기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관계가 있다. 쌍극자모멘트는 하나의 결합이나 분자 내에서 음전하를 띠는 부분과
양
전하를 띠는 부분이 분리된 경우에 나타난다. 분자에서 결합 길이나 결합각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분자의 진동(vibration)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진동에는 결합각이 변하는 굽힘(bending)과 결합 길이가 변하는 늘어남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제 늘 제 옆에서 저와 함께 지내기로 약속했답니다.언제 우리 마을에 놀러 오세요. 태
양
열을 이용해 데운 따뜻한 방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눠요. 기다릴게요. 안녕~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는 소들을 바라보며
양
박사가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복제동물 탄생의 역사1952년
양
서류인 개구리 복제 성공을 시작으로 어류, 포유류의 복제가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16년간 냉동고에 보관 중이던 생쥐의 뇌세포핵을 치환해 복제생쥐가 태어났다.아직까지 알에서 발달해 태어나는 파충류와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난해 수입산 고기에서 다이옥신이 다량 검출되며 논란이 됐다.한 번 생기면 잘 분해되지 않고 몸속에 쌓이는 독성물질 다이옥신.북극곰의 간에서도 발견 ... 담배 1갑을 피우면 쓰레기 소각로 근처에서 하루 종일 숨 쉴 때 마시는 다이옥신보다 많은
양
을 들이마신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