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자연이 평형을 이루는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복사 평형 온도를 가정해, 복사의 주체별로 입사하는 에너지와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
을 표현하고, 그 값을 등식의 형태로 표현하여 계산합니다. 2)에서는 앞에서 구한 식을 해석해서 온실 기체로 인해 지표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을 찾습니다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대학생이 라면을 끓이면서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재미있게 풀었다.전창림 교수는 한
양
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뒤 프랑스국립대에서 고분자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홍익대 교수로 있다. 고분자화학과 미술재료의 화학적 연구에 관심이 많다. ‘알고 쓰는 미술재료’(1996), ‘생활은 ... ...
Vertical Farming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방법을 통해 전통적 농업에서 사용하는 물의 단 5%만 가지고도 보통 농장에서 수확하는
양
보다 에이커당 15배나 많은 상추를 수확할 수 있었다. 데스포미어 교수의 계획은 더욱 원대하다. 그는 햇빛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투명한 벽으로 만든 도시한 블록 면적에 30층 높이인 수직 재배 농장 모델을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996년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한 이래 지금까지 복제에 성공한 포유류는 20여 종에 이른다. 이제 동물복제는 생명과학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 잡으면서 바이오혁명을 이끌고 있다. 당뇨병을 비롯한 현대인의 질병을 극복하는 데 복제기술이 없어서는 안 되고 마약탐지견이나 우량 한우같이 우수한 형질을 ... ...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알 수 있다.최항순 교수는 독일 뮌헨공대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에서 해
양
구조물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담당해왔다. 틈틈이 우리 고대 한선을 연구해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한선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문화유산에 숨겨진 과학의 비밀’ 같은 관련 서적을 집필했다 ... ...
[물리]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차이점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힘을 받아 움직인다. 전기장은 시험전하(+1C)가 받는 힘의 크기와 방향이다. 도체 내부가
양
또는 음의 전하로 대전된 경우 도체에 들어간 같은 전하들은 상호 척력 때문에 더 이상 분산될 수 없을 때까지 멀리 떨어진다. 각각의 전하들이 서로 떨어지려고 하면서 소수의 전하에 더 가까워지는 상황도 ... ...
[지구과학]에너지의 이유있는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일과 에너지는 서로 순환한다. 이때 에너지의
양
은 보존되지만 그 형태는 끊임없이 변한다. 이러한 에너지의 변신은 여러 가지 자연현상으로 나타난다. Q1다음 제 ... 질량 결손과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되는 에너지
양
을 구하고 현재 광도를 고려해 태
양
의 잔여 수명을 계산합니다.예시답안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는 소들을 바라보며
양
박사가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복제동물 탄생의 역사1952년
양
서류인 개구리 복제 성공을 시작으로 어류, 포유류의 복제가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16년간 냉동고에 보관 중이던 생쥐의 뇌세포핵을 치환해 복제생쥐가 태어났다.아직까지 알에서 발달해 태어나는 파충류와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 300mL와 기체 ⓒ 120mL를 혼합해 완전히 반응시켰을 때 용기 속에 들어 있는 혼합기체의
양
은 몇 mL인가? 4) 기체 ⓒ 분자 1개의 실제 질량은 몇 g인가? (단 아보가드로수는 6×1023으로 한다.) 예시답안 1) 아보가드로법칙에 의해 기체 ⓑ와 같은 부피의 기체 ⓐ 속에는 같은 수의 분자 3×1023개가 존재한다.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 있다. 과학관 3층 생명과학랩에서는 투명 미로에 갇힌 바퀴벌레에 손전등을 비추며 다
양
한 곤충을 관찰하고, 2층 로봇랩에서는 인공지능로봇을 직접 만들어 보며, 1층 DNA랩에서는 DNA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림 팃멩 교육팀장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하루에 몇 개씩은 과목별로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