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는 단층암 시료 5개를 채취하고 전자자기공명법을 이용해 각각의 절대연령을
측정
했다. 그 결과 동강댐과 관련해 특기할만한 결과가 제시됐다. 한개의 시료에서 약 20만년 전에 규모 5.0 이상으로 단층이 활동했음을 알려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원래 이 지역은 활성단층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다.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간빙기에 살고 있다.빙하 퇴적물에 들어 있는 유기물을 탄소동위원소를 이용해 연대를
측정
하면 가장 가까운 뷔름 빙기는 지금으로부터 1만8천년 전에 최대기를 맞았다(그림1). 당시의 연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10℃ 가량 낮았고, 설선고도(눈이 쌓인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경계선 높이로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나사는 우주선에 미치는 중력효과를 토대로 행성들의 질량을 정확히
측정
했다. 이때
측정
된 행성들의 정확한 질량을 대입한 결과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위치 오차는 사라졌다. 행성 X를 찾으려는 긴 장정이 막을 내린 것이다. 열번째 행성은 이제 의미가 없어져 버렸지만, 천문학자들은 명왕성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중심을 돌면서 행진하기 때문이다(첫째 방법의 원리와 같음). 따라서 별의 경로를 정확히
측정
하면 보이지 않는 행성의 유무를 알 수 있다.외계 행성은 눈으로 쉽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생각할 수 있는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엄청난 집념으로 이들을 탐색해왔다. 다음은 한 천문학자의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강하게 나타나며 전기적으로도 방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키를리안 사진으로 기를
측정
하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요컨대 국내 정신과학자들에게 키를리안 장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를 찍는 사진기이다.몸의 자연치유력이 핵심초심리학자들은 심령요법으로 질병이 치유되는 이유를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뿐만 아니라 우리별 3호에는 우주고에너지입자검출기, 우주방사선실험장치, 정밀자기장
측정
기 등이 탑재돼 있다. 아직도 정확하게 풀리지 않는 밴 앨런대에 포획된 입자들의 행동과 같은 우주비밀을 밝혀내기 위한 것이다.그런데 뭐니뭐니해도 우리별 3호의 최대 특징은 우리 나름대로 독자적인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측정
하면 단위 시간당 열량(W)을 알 수 있다.필로덴드론 셀로움의 산소 소비속도를
측정
해 발열량을 계산한 결과 꽃가루를 옮겨주는 곤충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곳에서 가장 많은 열을 내고, 수꽃과 암꽃은 그다지 열을 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곤충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곳에 온도를 ... ...
유체의 흐름 탐구하는 공기역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 비행기가 날아갈 때의 환경을 지상에서 재연해 기체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측정
하는 것이다.축소한 비행기 모델을 시험부에 넣고, 바람을 불어넣어 실제 비행과 똑같은 조건을 만들어준다. 각 부위의 바람의 속도는 레이저를 쏘아 돌아오는 레이저를 분석해서 얻는다. 실험 데이터들을 모으면 ... ...
행성간 충돌로 달 생성?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확증을 위해서는 달 핵의 크기나 암석에 포함된 금속성 원소들의 양을 더욱 정확히
측정
해야 한다. 과학자들은 우주선의 정보를 계속 분석해 가면 보다 정확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시사했던 것이다.외부은하를 처음으로 발견한 허블은 수십개의 은하에 대한 거리를
측정
했다. 그런데 거리가 먼 것일수록 적색이동이 크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도플러효과에 따르면 큰 속도로 멀어지는 광원(光源)일수록 빛의 파장이 빨간색쪽으로 치우친다. 1929년 허블은 이를 바탕으로 허블법칙을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