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뉴스
"
각
"(으)로 총 5,34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RNA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각
생명체마다 가장 적합하게 진화한 한 가지 종류의 rRNA를 갖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에 생물 종마다 잘 보존돼야 하기 때문이다. ... ...
UNIST, ‘휴먼테크 논문대상’서 금상 등 13명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씨(지도교수 김소연)는 장려상을 받았다. 정무영 총장은 “휴먼테크 논문대상은
각
분야에서의 우수한 성취와 함께 실용적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다”며 “UNIST가 꾸준히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강조해온 결과”라고 강조했다. 시상식은 13일 서울 삼성전자 ... ...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나노구조가 촉매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은 알려져 있었지만 연구진은 이에 더해
각
기공의 크기가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까지 규명했다. 기공의 크기를 정교하게 조절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연구진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름이 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카카오빈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수천 종을 분리했다. 연구팀은
각
종들이 카카오빈의 어떤 물질을 발효시켜 어떤 산물을 내는지 분석한 뒤 초콜릿을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한 균주 몇 종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가령 어떤 균주는 과일향을 내면서 단맛보다는 씁쓸한 맛을 내고, ... ...
KAIST 연구진, 뉴로모픽 칩 시냅스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회로와 이들의 연결부인 시냅스 소자로 구성된다. 뉴로모픽 칩이 AI 연산을 수행할 때
각
시냅스 소자에서는 뉴런 간의 연결 강도를 나타내는 전도도 가중치가 아날로그 데이터로 저장 및 갱신돼야 한다. 하지만 기존 멤리스터들은 대부분 비휘발성 메모리 구현에 적합 디지털 특성이 있어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세포가 노화하면서 세포분열을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마다
각
자 위치한 조직과 기능에 맞게 최적의 크기를 유지한다고 결론지었다. 즉 같은 조직에서 비슷한 기능을 하는 세포끼리는 필연적으로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연구에 참여한 안젤리카 아몬 ... ...
도심화재 예측하고 감염병 의심자 걸러낸다...다부처 R&D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작업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다부처특위가 선정한 사업은
각
참여 부처들이 2020년 초부터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과학기술을 통한 혁신성장과 사회문제해결 그리고 민‧군 연구성과의 다양한 ... ...
출구 못찾는 출연연 용역직 자회사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것으로 안다”며 “기관별로 공동출자회사를 바라보는 시
각
이 다르고 분위기도 제
각각
이다”라고 말했다. 또 “언제까지 합의를 마무리해달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는 않았다”며 “다만 조속히 합의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겨울나기…숨을 죽이다
2019.02.06
놔두었지만 안으로 닫아버렸다. 대왕박
각
시 번데기 앞가슴 숨구멍 안쪽 면 대왕박
각
시 제 8배마디 숨구멍 안쪽 면 휴면하는 곤충이 습도 조절에 실패하면 더 이상 발달은 없다. 유난히 가물었던 올 겨울, 습도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한 곤충이 많아질 것이고 그래서 전체적으로 곤충 숫자가 감소할 ... ...
움직이는 후
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
과학동아
l
2019.02.04
분석했다. 그 결과 후
각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서로 다른 18개 유전자에 흩어져 있던 후
각
수용체 유전자들이 서로 뭉쳐서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롬바르다스 교수는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인핸서(enhancer) 그룹이 발현할 유전자를 선택하고 활성을 조절한다”며 “이렇게 서로 다른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