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먹죠. 또 주변에 식물 공장이 있어서 채소를 직접 키워 먹을 수도 있답니다. 형광등과 LED
아래
에서 상추나 깻잎, 고추 등을 키우고 있거든요. Q 저는 남극에 가게 된다면, 펭귄과 셀카를 찍고 싶어요. 가능한가요? 남극에선 아주 흔하게 펭귄을 볼 수 있어요. 특히 남극특별보호구역 No. 171 ... ...
극심한 가뭄, 대한민국이 타들어간다
동아일보
l
2015.06.12
수위는 153.13m로 역대 최저치인 1978년 6월 24일의 151.93m에 1.2m 차로 근접했다. 수위가 150m
아래
로 내려가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 방류가 어려워진다. 충북 충주댐 수위는 같은 시간 115.25m를 기록했다. 사상 최저 수위인 1994년 6월 29일의 112.3m에 3m도 채 남지 않은 수준이다. 11일 내린 비로 급한 불은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이것이 바로 북한에서 출시한 태블릿 PC"
과학동아
l
2015.06.12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과학보다 더 국제적인 것은 없다’는 모토
아래
북한의 과학자들과 긴밀하게 연구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자신을 ‘북한 과학자를 동행 취재한 유일한 외국인 기자’라고 소개한 리처드 스톤 편집장은 2011년 해외 특파원 신분으로 영국과 북한 과학자들의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지진 보도 위해 균열난 도로 위를 1시간 걸었다”
2015.06.09
본분을 다하기 위해 1시간을 걸어 사무실로 출근을 하고 나니 무너진 다라하라 타워
아래
100여 명의 사람이 갇혀 있었다. 그는 출근한 동료들을 모아 일단 잔해에 깔린 사람들부터 구했다. 카르키 특파원은 네팔 지진 당시의 상황을 회상하며 재난 상황에서의 기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멍게 껍질로 시린 이 감쪽같이 코팅
2015.06.03
가글이나 치약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멘트질
아래
존재하는 상아세관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연구진이 개발한 치료제는 상아세관을 봉쇄해 시린 이 증상을 막아준다. - 포스텍 제공 ... ...
[사설]‘사스 방역 모범국’이 어쩌다 ‘메르스 후진국’ 됐나
동아일보
l
2015.06.03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확산됐을 때에는 고건 당시 국무총리의 지휘
아래
신속하고 철저한 대응으로 재난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당시 한국에는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국무총리가 나서서 군(軍)을 포함한 관계 부처들을 총동원했고 범정부 차원의 사스 종합상황실을 만들었다. 고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확인됐다(위). 이런 정체를 해소하면 재난 시 차량들이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은 미국 뉴욕시에서 발생한 그리드락 사례. - GFDL(W), 작자미상(W) 제공 ● 내비게이션->빠른 대피 경로 프로젝트 311에서는 차량 이동 정보에도 주목했다. 지진 당시 도로는 대피하는 차량들로 극심한 정체를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위해서. Q. 시뮬레이터를 개선하면 실재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아래
로 떨어질 때 가속도를 느끼게 한다거나. A. 지금도 일부 사람들이 멀미와 공포감을 느낀다. 밑으로 10~20°만 고개를 숙여도 머리에 피가 쏠려서 오래 지속할 수 없다. 한계가 있다. Q. 버들리를 타 본 사람만이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톱니들이 연결돼 있어요. 톱니바퀴들과 부품들이 움직이면서 도르래의 원리로
아래
의 물을 끌어올린 뒤, 분무기처럼 물을 뿜는 분수지요. 물이 분수대 위로 올라가면 위치에너지가 생기는데, 이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물이 빠른 속도로 떨어지게 되지요. 분수대의 구조가 그대로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예민하게 반응해 계절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일종의 ‘제3의 눈’인 셈이다. 반점
아래
는 단단한 머리뼈가 아닌 얇은 연골로 돼 있었는데, 덕분에 온도변화 정보를 곧바로 뇌에 전달할 수 있었다. 장수거북은 이 제3의 눈 덕분에 계절변화를 쉽게 알아차리고, 고향으로 돌아갈 시기를 정확하게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