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03
차이로 인해 독성물질은 개의 혈액쪽으로 침투한다. 이 독성물질은 개의 간에서 정화된
이후
막을 통해 다시 환자의 몸 속으로 들어온다.현재 의료계에서 연구되는 인공간은 동물을 직접 데려다놓고 시술하는 형태에서 간세포만을 떼어 독성물질을 정화시키는 형태로 옮겨졌다. 예를 들어 속이 빈 ... ...
3. 아무리 복잡해도 한눈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199703
것을 의미한다. 또 사람들은 새로운 정보를 대하게 될 때 우선 형태로서 인지하고 그
이후
그 내용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인지적 측면에서도 시각적 정보가 훨씬 효과적이다.유명한 코카콜라 로고를 보자. 얼핏 보기만 해도 그 독특한 형태로 인해 사람들은 쉽게 코카콜라로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2
왼쪽으로 가야 한다는 정도의 인지 능력을 갖춘 것은 아닐까.이런 입장에 따라 1940년대
이후
학습미로는 T자형과 일(一)자형으로 대체됐다. 쥐나 토끼처럼 ‘방어형’ 동물은 주변의 상황을 광범위하게 파악하기 위해 눈이 양쪽 방향으로 붙어 있다. 따라서 일자형 미로 끝에 있는 먹이는 출발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02
1590년 네덜란드 안경사인 얀센부자가 두개의 렌즈를 조합해 만든 것이 시초였다.
이후
렌즈를 사용하는 광학 현미경은 꾸준히 발전했지만 물체를 2천배 이상 확대해 볼 수는 없었다. 광학현미경은 빛의 파장(4000-7500Å)보다 작은 물체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1932년 독일의 루스카는 전자를 이용해 ... ...
새로운 차원의 오락 온라인 게임
과학동아
l
199702
기쁨을 맛보지만, 그것도 잠시. 그 게임을 창조한 사람은 따로 존재한다. 게임 정복
이후
에 찾아 드는 묘한 비참감.하지만 온라인게임은 얘기가 다르다. 미리 짜여진 시나리오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화나 인터넷을 이용해 친구와 머리를 맞대고 자웅을 겨룰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래머는 ... ...
개그맨 전유성 여전히 초보인 인터넷 도사
과학동아
l
199702
않을 듯 싶다.한가지에 몰두하는 성격인 그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첫 발을 들여놓은
이후
한동안 그 바쁜 스케줄을 뒤로 한 채 한나절 이상을 인터넷에서 허우 적거렸다고 한다. 그러나 "알타비스타에 들어가 플레이보이 최신호를 혼자서 찾아들어가 볼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한 요즘은 발길이 ... ...
온라인교육, 교실교육보다 효과있다
과학동아
l
199702
받은 교실 수업은 과목 진행을 위해 알아야 할 온라인 사용법 강의 두시간이 전부.
이후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보기 위해 등교했을 뿐이다.이렇게 한 학기를 마치고 두 그룹을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문제로 시험친 결과 가상반 학생들이 전통반 학생들보다 일률적으로 20% 높은 학습성취도를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02
2˚13´, 서경 58˚47´이다 지구환경에서 중요한 남극을 연구하기 위해 1988년 2월 17일 건설된
이후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아남극이란 남극보다는 북쪽이며 남극수렴선 남쪽 지역을 말한다 남극수렴선(Antarctic convergence)이란 남위 54도에서 62도 사이를 오르내리는 폭 60km 정도의 선을 말한다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02
1979년)●코스모스*(1980년)●혜성*(1985년), 앤 드루이안 공저●접촉(1985년)●핵겨울-핵전쟁
이후
의 세계*(1985년), 편저●아무도 생각하지 않은 길-핵전쟁과 무기경쟁의 종말(1990년), 리차드 투르코 공저●잃어버린 조상의 그림자*(1992년), 앤 드루이안 공저●창백한 푸름 점*(1994년)●악마가 출몰하는 ... ...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02
흡수해주지 못하고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돼 오히려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자동차 안전의 초점은 ‘어떻게 하면 탑승객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을까’로 모아지게 됐다. 안전벨트와 에어백은 이런 관심의 결과물로 탄생한 것이다.에어백은 자동차 전방에 장착된 충돌감지 센서가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