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됐다. 실용이란 오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봉천고개를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수학적인 재해석을 전해 듣고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민코프스키의
새로운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아인슈타인도 스승의 이론을 응용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전시킨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고, 결국 블랙홀 이론의 밑바탕을 쌓았다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채택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효율성이 더 높아도 기존 체계에 대한 익숙함 때문에
새로운
체계가 외면을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수학적으로는 효율적인 액면 체계를 만들 수 있지만, 결국 액면 체계는 효율성보다 그 나라의 경제적 여건과 사회·문화적 관습에 따라 정해진다. 하지만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하지만 이런 주장은 당시 수학자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스승인 크로네커조차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칸토어가 수학계에 도전한다며 독설을 퍼부었다.칸토어는 홀로 수많은 비판자와 맞서 외로운 투쟁을 벌였지만, 결국 정신적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정신병원을 오가는 생활을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4초 이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보자.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는 단계다. 이때부터는
새로운
문제가 우리를 괴롭힐 것이다. 바로 재료다. 플라스마의 가장자리 온도가 1000K 이하라 할지라도, 이 온도조차 오래 견딜 수 있는 재료는 흔하지 않다. 더구나 플라스마 연료(중수소, 삼중수소)를 오염시키지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화성탐사도 2000년 이후에는 12번의 시도 중 9번이나 성공했다. 이제 인류는 혜성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지평을 넓혔다. 머지않아 ‘제2의 로제타’가 나올 것이다. 늘 그랬듯이, 우린 답을 찾을 것이므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BRIDGE. ... ...
[과학뉴스]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나이 든 부모님을 모시고 새 물건을 사드릴 때는 예외다. 쇼핑하기 피곤하다며 알아서 하라고 손을 내젓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최근 해외에서 나온 연구를 보면 부모님의 그런 행동을 이해해야할 것 같다. 미국 듀크대 ...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지도교수)에서 만난 노건일 박사과정 학생이 말했다. 그는 최근 동료 대학원생들과 함께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버블시티’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를 바탕으로 벤처까지 창업했다. 노 씨는 “공학자들은 기술창업으로 세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개발 동기를 밝혔다.버블시티는 특정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인생 이모작을 시작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동안 쌓아올린 성공에 기대기보다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싶었다. 살아오면서 사회에 진 빚도 갚으면서 자신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줄 일을 고민 하다 지식과 문화가 담긴 좋은 책을 펴내보고 싶다는 생각에 도달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출판사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저자는 “알고리듬의 발달로 우리는 모든 곳에서 감시 받고 분류된 뒤 결국 차별 받는,
새로운
형태의 파놉티콘에 갇힌 것인지도 모른다”고 경고한다.이미 알고리듬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너무 광대하다. 각종 알고리듬은 서로 꼬인 실타래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제 알고리듬을 만든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