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생명공학에 의해 실현된 셈이다. 이 기술은 동물에서는 아직 초창기 단계에 있지만
식물
에 있어서는 벌써 많이 사용되어서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번식이 어려워서 몇 백만원을 호가하던 동양란이 이 조직배양기술에 의해서 번식에 상당히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대학연구팀과 공동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좋은 예. 이런 연구작업 중에서 '특정지역의 동
식물
보존방법'같은 테마가 박물관팀이 우수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료의 대여·교환도 중요한 기능 전시와 연구기능 이외에 자연사박물관이 맡고 있는 큰 역할이 '자문기능'이다. 학구적인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에서는 소련의 과학자 '빅터 아마멘코'가 한 실험, 즉
식물
잎의 일부를 잘라내고 키를리안 사진을 찍었더니 잘려나간 부분에서도 '오라'가 나타난다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아뭏든 키를리안 사진을 계기로 해서 미국에서는 60년대부터 초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를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살아있는 화석
식물
'로 불릴만큼 그 생존역사가 독특하다. 정영호교수(서울대·
식물
학)에 의하면 은행나무는 아득히 먼 지질시대, 약 2억년전부터 존재했었으나 모두 절멸됐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사천성의 산골짜기에서 단 한그루 살아남은 은행나무가 발견돼 다시 전세계에 퍼졌다는 것이다.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어식성인 특히 과반수 이상 붕어를 주식으로 하는 비오리와 잡식성이지만 물속에서 주로
식물
성(풀과 풀뿌리 등)과 약간(약 20% 미만)의 동물성(수중곤충 및 기타)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오리)가 몰려들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비오리는 개발 전의 최대수 6백에서 개발 후에는 1천~3천1백가지도 증가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황산송 외에는 약간의 침엽수 밖에 없다. 그리고 1천6백m 이상은 황산송과 몇가지의 고산
식물
만의 세계인 것이다. 기묘한 환상과 꿈의 고향바위와 소나무 등의 지상의 정화(精華)만을 얘기해왔지만 변환(變幻)이 끝이없는 구름도 빼 놓을 수 없다. 황산은 '예로부터 구름바다를 이루는 곳'이라하여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식물
에 계절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생장하여 발달하여 가는가를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다.
식물
은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스스로의 변화를 통하여 생존할 수 밖에 없음을 우리는 깨달을 수 있다. 이들 서로의 변화의 양적 및 질적 조화가 바로 적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입증해주고 있다.꼭두서니는 뼈속까지 붉게 물들여고대로부터 사용된 또 하나의
식물
염료는 꼭두서니에서 채취한 것이다. 이 풀은 약 1m 높이로 자라고 뿌리는 가늘며, 길고 잘게 갈라져 퍼진다. 그리고 뿌리의 속과 껍질 사이에는 빨간 층이 끼어 있다. 이 뿌리를 건조시켜 도리깨로 두드린 다음,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선조의 과학적인 지혜가 담겨 있는 음식이다.또 김치는 야채라는
식물
성과 젓갈이라는 동물성을 고추 속에 켑사이신 성분으로 말미암아 미각을 해치지 않고 영양가면에서 이상적으로 화합시키는데 성공한 희귀한 식품으로도 평가되고 있다. 이 켑사이신은 바로 비만뿐 아니라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그리 엉뚱한 것만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달에 토끼는 커녕 하등한
식물
조차 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안다. 하지만 달은 여전히 친근하면서 신비스런 존재임이 분명하다.보름달은 금성의 2천배 밝기전기가 발명되기 전에 달은 밤동안 인류의 등불 역할을 했다. 보름달일 경우 밝기는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