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속도도 빨라진다. 2025년으로 예정된 마지막 플라이바이 뒤에 태양 표면으로부터의
거리
를 616만km로 좁히고, 태양의 강한 중력 때문에 속도는 점점 빨라져 최고 속도는 시속 69만km(초속 192km)에 이를 예정이다. 우주 개발의 전초기지로 사용할 달을 향한 새로운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창어 ... ...
폭염속 어린이 차량방치 사고 막을 똑똑한 방석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기술로 사용됐다. 방석에 달린 센서가 차량 속에 아이를 감지하고 있을 때 교사가 일정
거리
이상 차량과 멀어지면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면서 경보가 작동하는 원리다. 생기연은 “다른 장치들과 달리 별도 설치 작업이 필요 없고 좌석에 갖다놓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며 ... ...
태양에서 가장 먼 핑크색 왜소행성 '파아웃'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그동안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고 여겨졌던 왜소행성 에리스(96AU)보다도 먼
거리
에 떨어져 있다. 연구진은 지난 달 10일 하와이 마우나케아 천문대의 지름 8m짜리 스바루 망원경으로 파아웃을 처음 관측했다. 또 이달 초 칠레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의 마젤란 망원경을 이용해 추가 관측했다.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사이언스 제공 남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에 자리한 이구아수 폭포는 현지 원주민 언어로 큰 물을 뜻한다. 폭포에선 초당 1000t의 물이 떨어진다. 이구아수 폭포처럼 지 ... 돌도록 설계됐다. 이론적인 예측에 따르면 스타맨은 2020년 10월 6일경 화성과 약 748만 ㎞
거리
로 가까워진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양자광학및양자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려면 더 멀리 떨어진
거리
에서 양자얽힘 상태를 만드는 것과 함께 동시에 여러 곳에서 양자얽힘을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번에 네 곳에서 동시에 얽힘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확장해 현실적인 ... ...
내 앞 거울에 손을 대자 유튜브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전달된 소리를 스마트폰에 녹음하고 주파수별로 소리의 도달 시간 차이와 소리 전달
거리
간의 관계를 파악했다. 이 값을 이용해 터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0초 이내의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사물을 터치스크린으로 바꿔준다. 기존 기술은 터치를 입력한 위치를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③美 달 정거장 찍고 화성간다
과학동아
l
2018.12.13
시설을 때때로 환경에 맞게 만들어 쓸 수 있다는 뜻이다. 달 다음 목표로 삼고 있는 2억km
거리
의 화성에서는 이 같은 기술이 더욱 중요해진다. 타도로스 부사장은 “과거의 달탐사는 달에 며칠 머무르는 데 그쳤다면 오늘날의 달탐사는 달 거주에 도전하고 있다”며 “인간이 진정으로 지구와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각각 붉은 줄과 푸른 줄이 들어간 우주복을 착용했다. 소유스 MS-09 캡슐까지 약 30m의
거리
를 왕복하는데 약 6시간이 걸렸다. 기중기 팔에 안전장치를 걸고 소유스 MS-09 캡슐로 접근하는데만 4시간이 걸렸다. 여기에 약 25㎝ 두께의 단열재를 칼로 제거한 뒤 구멍을 막는데 썼던 에폭시 밀폐제를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② 2024년 누가 먼저 달 보내나 ‘문레이스’
과학동아
l
2018.12.12
지구에서부터 수많은 돌과 콘크리트, 물 등을 로켓에 실어 나르기에는 달까지
거리
가 너무 멀고, 연료 효율도 떨어진다. 만약 달에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원하는 것들을 만들 수 있다면 달 기지를 건설하거나,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을 만들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그린하우스를 짓는 ... ...
'지열발전일까 자연지진인가' 포항지진 원인 놓고 세계 학계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3~7km로 추정된다며 지열발전소와 가까울수록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원
거리
에서 측정한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로 지형을 원격탐사한 자료를 통해 지진이 양산단층이 위치한 반대 방향인 북쪽으로 힘을 전달했다며 경주지진을 일으켰던 양산단층의 활동과는 관계가 없다고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