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02
1990년대 초반 인텔이 ‘80386’과 ‘80486’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셋 모델에 이 방법을
처음
적용했다.그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펜티엄 모델부터 작은 선풍기를 칩에 달아 냉각시키는 공냉식이 쓰였다. 자연냉각 방식보다 냉각효과는 좋지만 공냉식 선풍기에서 나는 ‘윙~’하는 소리는 신경을 ... ...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02
오래 머문 여성’(195일) 기록을 갖고 있는 미국 우주인 수니 윌리엄스는 두 사람에게 “
처음
으로 진행되는 한국 우주인의 우주비행과 실험에 많은 관심이 있다”며 “유인우주프로그램에서 국제협력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애써 달라”고 당부했다.고 씨와 이 씨는 1월 19일 미국 훈련을 마치고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01
화학성분은 3Al₂O₃·2SiO₂이다 물(mul) 섬의 현무암이 고열 변성 작용을 거친 포획암에서
처음
발견돼 이 이름이 유래됐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 풍부한 화성암이 고온·고압의 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천연적으로는 드물지만 도자기 제조시 용융·가열과정에서 인공적으로 생산된다외력에 의해서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01
마음 가짐 덕분에 많은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었다”며 이공계 학생들에게“두려워말고
처음
에는 폭넓게 공부하고 점차 자신의 관심분야를 좁혀 파고 들라”고 조언했다. 수많은 정보 가공해 ‘보석’ 만든다공학 분야에서 수상한 손소영 교수는‘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전문가다. ‘정보를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01
만큼의 에너지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것을 음의 세기의 단위로 환산하면
처음
세기에서 60dB만큼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건물을 설계할 때는 실내공간의 용도와 크기 그리고 형태에 따라 잔향시간을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가령 음악을 주목적으로 하는 음악당이나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다른 박테리아의 유전체에 끼워넣은 경우는 많았지만 두 유전체를 통째로 융합한 경우는
처음
이었다.이타야 교수는 두 유전체가 융합된 유전체를 갖고 있는 세균이 두 세균의 특징을 모두 나타낼 거라고 기대했다. 광합성을 하는 청국장 발효균! 하지만 남세균-고초균 세포에서는 남세균의 특징은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로진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으로 인한 통증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처음
고추를 먹으면 그 얼얼함에 깜짝 놀라지만 몸에 별탈이 없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뒤에도 안심하고 고추를 먹을 수 있다. 한편 몸은 고추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인 엔돌핀을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01
임상실습 교육이 시작된다.의대 교육과정이 이렇듯 질병 중심으로 짜여있어 환자를
처음
대하는 의대 3학년 학생들은 자연스레 2년 동안 배웠던 질병의 관점으로 환자를 본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은 의사를 만드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일 뿐이다. 아담스의 소망대로 현재 상당수 ... ...
운동 유전자는 천연 우울증 치료제
과학동아
l
200801
때 활성화되는 유전자 33개를 발견했다. 이번에 발견된 ‘운동 유전자’ 33개 중 27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이 중 운동할 때 가장 많이 활성화된 것은 유전자는 VGF였다. 연구팀이 VGF 유전자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인공합성해 스트레스를 받은 쥐에 투여한 결과 항우울제와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01
유아기에는 소리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찾았다.
처음
에는 원숭이를 상대로 실험했지만 너무 똑똑해 언어의 음소를 모두 구분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선택한 동물이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일명 모래쥐였다. 실험실 속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각각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