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X선 발견 100년과학동아 l199507
- 몇년만 지나도 낡은 것이 돼버리는 첨단과학의 세계에서도 여전히 빛을 잃지 않고 영양력을 행사하는 X선. 20세기 물질과학의 화려한 지평을 연 X선의 세계는 이제 제2의 르네상스기를 맞고 있다. 진단 치료 의학은 물론 재료과학 생명과학 천문학 물리화학 등에서 점점 더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
- 화학- 무지개 빛으로 변하는 마법의 성과학동아 l199507
- 방법을 한번 알아볼까요?우선 티몰블루 0.005g, 메틸레드 0.012g, BTB 0.060g, 페놀프탈레인 0.100g을 1백mL 에탄올에 녹이고 0.05M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녹색이 되게 한 뒤에 증류수로 2백mL로 묽히면 만능지시약이 완성됩니다. 우리에게는 아직 생소한 이름의 지시약이 많지요? 실험에 사용한 암모니아는 ... ...
- 2. 웹 사용하면 '정보 탐험길'이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199507
- 것을 그 즉시 보여주므로 사용자가 매우 빠르게 느낀다는 점이다.현재 윈도우용은 ns16-100.exe가 나와 있다. 원래 상용프로그램이지만 개인이 사용하는 것은 일정기간 무료로 할 수 있다. 모자이크가 32비트용이기 때문에 win32s를 설치해야 하는데 반해 ns16-100.exe는 기존의 16비트 환경에서도 구동되기 ...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과학동아 l199506
- 것이 어려워진다.프리드만 연구팀의 연구 결과도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들은 M100 나선 은하의 거리는 매우 정확하게 측정하였으나, 이로부터 허블상수를 구하는 과정에서는 그들이 주장하는 측정 오차보다 실제 오차가 클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허블우주망원경을 사용하여 여러 은하단의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여행과학동아 l199506
- 이중성단이 보인다.④ 월령 10일의 달Pentax Me super, Vixen ED 130mm(f/9), EM-200 자동 가이드, Sensia 100좌측의 경계선 아래쪽에 가장 밝게 빛나는 분화구가 티코이고, 중앙의 경계선 부근에 케플러와 코페르니쿠스가 밝게 빛나고 있다 ... ...
- 우주나이, 몇살인가과학동아 l199506
- 미국 카네기천문대에서는 허블 망원경으로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이용해 허블상수를 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는 1백억년이 채 안되는 80억년. 한편 연세대에서는 NASA의 자외선망원경 관측결과를 이용해 거대타원은하 내에 있는 구상성단의 나이가 2백억년에 ...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06
- 값에 불과하다. 원래 ${10}^{-5}$정도의 물질 요동치는 아무리 빨리 2백억년간 자라도 대락 1/100정도 밖에 안된다는 뜻이다. 이는 1에 한참 못미치는 값이므로 이 결과를 그대로 따른다면 현재 우주에는 별이나 은하라 할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그저 가스구름과 그들의 희박한 모임 정도밖에 없게 된다. ... ...
- 성전환수술 9가지 궁금증 풀이과학동아 l199506
- ) 또 환자의 음순피부를 이용해 음낭을 만들어준다.음경만들기가 용이하지 않은 만큼 100% 성공도 보장받지 못한다. 성공률은 90% 또는 그 이하로 봐야 한다. 동맥과 동맥, 정맥과 정맥, 신경과 신경 사이의 연결이 잘못 됐거나 혈관이 막히면 음경이 2주 내에 녹아버리게 된다(피부에 흡수된다.). 4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05
- 다이아몬드 속의 달무리1995.2.18 충청북도 진천군 광해원 Nikon FM2 16㎜(f 2.8) film=sensia 100달 주위에 둥글게 나타나는 빛의 띠를 달무리라고 한다. 이 달무리는 달빛이 구름 속의 얼음 조각을 통과할 때 회절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엷은 권층운이 끼어 있을 때 나타난다. 보통의 달무리는 크기가 대략 20도 ...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과학동아 l199505
- 전면이 보인다(face-on). 중심부가 밝게 나타나며 주변에 밝은 점들이 확인된다.(Coma) M100:나선은하. 9.2등급. 은하의 전면이 보인다(face-on). 작은 망원경으로 핵은 별처럼 보이며 주변은 희미하게 나타난다. 과학동아 2월호에 허블망원경에서 찍은 사진이 소개되었다.(Coma) M104:나선은하. 8등급.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