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로봇 작업은 굉장히 어렵다. 오염된 부위를 정확하
게
잘라낸 다음 200L 드럼에 꽉 들어차
게
차곡차곡 넣는 일은 사람이 직접 하기에도 어려운 일이다. 숙달될 때까지 훈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원자력연구원은 ‘실감형 원격절단 시뮬레이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최병선 책임연구원은 “고리 1호기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기자는 4대강 공사가 한창이던 2010년 한 해를 거의 4대강과 함께 보냈다.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 전국의 공사 현장을 찾았다. 현장 공사 관리자와 점잖 ... 더 참담할 것이다. 4대강 사업은 이제 누가 뭐래도 무익한 사업임이 드러났다. 이제 어떻
게
해야 할까. ‘포스트 4대강’을 고민할 때다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대해서는, 이번 도전의 목표가 아마존 환경파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지 죽는
게
아니었다는 말을 하고 싶다.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것을 알리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TV를 이용해 알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나누고, 각 영역에 알맞은 편미분 방정식을 세워 외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저항력이 어떻
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수학 모델을 이용해 강화유리의 안전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유리의 종류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성을 수치값으로 비교할 수 있을 전망이다.한 남자의 우연한 발견은 ... ...
[생활]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 수업이 살아 있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교사 교육 사이트에서도 인기 강사로 꼽힌다.선생님은 수학 교사라면 수학을 가르칠
게
아니라, 수학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풀이는 ‘진짜 수학’이 아니기 때문이다. 축구로 치면 직접 공격수가 돼 골을 넣는 것이 아니라, 선수가 골을 넣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코치가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친구들은 자신의 얼굴에 얼마만큼 만족하나요? 혹시 얼굴이 너무 둥글다거나 턱이 나왔거나, 얼굴이 조금만 갸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 턱 덕분이지요. 그래서 V라인이 아니라도 괜찮아요. 진짜 아름다운 얼굴의 조건은 바로 균형 있
게
발달한 건강한 턱이랍니다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역원이란 어떤 원소에 연산을 했을 때 항등원이 되는 원소다.⇒p★x=e인 x=p가 유일하
게
존재하므로, 역원이 존재한다.집합 A는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연산 ★에 대해 군이다. 특별히 여기서는 클라인 4원군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Part 1 전통의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상어나 참치 같은 여러 해양동물이 이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망망대해에서 아무렇
게
나 움직이는 것 같아도 동물은 자연선택에 따라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 ...
수학 문제로 신에
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신에
게
바쳤다.일본이 다시 서양에 문을 열면서 에도 시대는 끝나고 현대화가 급속하
게
진행됐다. 그러면서 일본의 전통이 많이 사라져 갔다. 산가쿠도 같은 운명을 겪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인들은 이 수학 문제를 잊어 버렸다. 신사나 절에 걸려 있던 산가쿠는 단순한 장식품 취급만 받았다.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
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계산은 이제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하지만 계산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상력과 창조성이 항상 바탕이 돼야 한다. 만약 먼 미래에 컴퓨터가 상상력까지 갖춘다면 어떨까? 그때도 수학의 왕좌는 인간의 차지라고 할 수 있을까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