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배열했을 때 사용된 점이나 물건의 총 개수를 삼각수라고 한다. 그림과 같이 세 번째인 6 다음의 삼각수는 무엇일까? 바로 10이다. 삼각수는 1, 3(=1+2), 6(=1+2+3), 10(=1+2+3+4)과 같이 1부터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10은 삼각수와 관련해 재미있는 성질을 한 가지 더 가지고 있다 ... ...
- Part 2. 숫자의 마법, 진짜 유망주 찾는 통계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관한 대략적 이미지가 떠오른다”고 말한다. 코칭스태프는 건강검진표를 토대로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것이다.김정준 과장은 “세이버매트릭스 통계 지표 중 피타고리안 승률을 신뢰한다”고 말했다. 피타고리안 승률은 득점과 실점을 통해 최종 승수를 예상하는 것이다. 시즌 중반 이를 활용하면 ...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CSLi)의 번역 소프트웨어 ‘이지트랜스’는 정확도가 90%를 넘는다. 네이버와 다음에서 제공하는 번역 서비스가 바로 이지트랜스다.그렇다면 이지트랜스나 구글 번역 같은 자동번역 소프트웨어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할까. 요즘 많이 쓰는 자동번역기술에는 크게 규칙기반과 통계기반 방법이 있다. ...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쉽게 연결이 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목표가 흐지부지 되기 쉽다. 동기부여를 확실히 한 다음 학과공부에 임하도록 하자. “우선 로봇공학에 네 특기인 프로그래밍을 접목해보면 좋겠구나. 그런데 프로그래밍의 기본은 수학이야. 수학을 잘 알고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과 기술만 갖고 누군가의 도표를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등장하지 않는다. 일례로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분수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수학동아 l2011년 10호
- 300kcal가 넘는 에너지를 소비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그 결과, 댄스스포츠는 조깅 다음으로 운동 강도가 높았다. 댄스스포츠는 평균 48.5분간 춤을 추면 300kcal를소비할 수 있다. 36.3분 만에 같은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는 조깅보다는 덜 하지만, 운동 효과는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댄스스포츠 ... ...
- 1/2은 되고 2/4는 안 되나?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부호를 붙인 수를 음의 정수라고 합니다. 여기에 0을 포함한 수를 정수라고 하지요. 그런 다음 유리수를 배웁니다. 유리수는 분모, 분자가 정수인 수입니다. 물론 분모는 0이 아닌 수입니다. 즉 초등학교에서 배운 분수는 양의 유리수에 해당합니다. 1/3, 2/5, 13/7과 같은 분수들은 모두 양의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세례당은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세워졌다.30분마다 안내원은 관람객들을 조용히 시킨 다음, 청아한 목소리로 “아~”하고 길게 소리를 내는데,그 소리가 세례당 안을 돌아 울려 퍼졌다. 반원형으로 생긴 그리스 극장이나 원형 로마 극장의 객석에서 마이크를 쓰지 않아도 배우의 소리가 잘 들리는 ...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해 (-a)(-b)=(a)(b)가 항상 성립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a)(b)+(a)(-b)+(-a)(-b)={(a)(b)+(a)(-b)}+(-a)(-b)=a×{(b)+(-b)}+(-a)(-b)=(a×0)+(-a)(-b)=(-a)(-b)(a)(b)+(a)(-b)+(-a)(-b ...
-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1만 원씩 매달 저축할 때 이자를 매달 10%씩 복리로 준다면, 한 달 뒤에는 11000원, 그 다음달에는 11000원에 또 10%의 이자가 붙어 11000+1100=12100원이 되는 식이죠. 단리는 매달 1만 원에 10%의 이자인 1000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짧은 기간에서는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의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