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해상강대국, 피사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늦게 통일된 나라에 속한다. 그 전에는 왕국, 공작이나 후작이 다스리는 공국, 몇 개의 가문이 다스리는 공화국들로 나뉘어 있었다. 피사는 현재 인구 8만 명 남짓한 작은 도시지만한때는 강력한 해상공화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피사는 북쪽으로는 세르키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제1코스 축구선수가 선망하는 등번호 1920년대 초 축구 경기에서는 볼 수 없었다. 관중들이 선수들을 쉽게 알아볼 뿐 아니라 경기 내용도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게 돕는다. 무엇일까? 바로 선수 유니폼에 새겨진 숫자다. 1920년대 후반 영국에서 처음 달기 시작한 등번호는 점차 국가대표팀 간의 정 ...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수학동아 l2011년 10호
- 20세기 이전부터 사랑받던 정사각형 퍼즐펜토미노를 이해하려면 먼저 폴리오미노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폴리오미노란 정사각형을 이어 붙여만든 새로운 도형을 통틀어 말한다. 이때 이어 붙인 정사각형의 변과 변이 정확히 맞닿은 도형만 폴리오미노라 한다. 또한 회전·대칭 이동해 같은 모양이 ... ...
- [수학실험실] 사소한 도전, 과일 탑을 쌓아라!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와~ 박사님, 과일 좀 보세요. 제가 좋아하는 과일이 다 있는 것 같아요.”“하하. 가을은 열매를 거두는 계절이잖니. 먹고 싶은 과일 다 골라 보렴.”“정말요? 저는 감, 키위, 사과, 그리고 귤도 다 먹을래요.”“녀석, 욕심도 많긴. 오늘 실험은 동글동글한 과일로 탑을 쌓을 거란다. 고른 과일을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이번 한국수학올림피아드에서 만족스러운 상을 받은 학생들도 있는 반면, 열심히 준비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았던 학생들도 있을 겁니다. 기회는 다음 번에도 있는 것이고, 정말 소중한 것은 좋은 상이 아니라 스스로 열심히 준비했던 과정과 그렇게 키워낸 자신의 실력 그 자체입니다. 노력으로 얻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시대에 따라 키의 개수 변해컴퓨터 전원을 켜고 부팅이 되는 동안 할 일이 없다. 키보드를 내려다보다가 키가 전부 몇 개인지 세보기로 했다. 총 106개다. 키의 개수를 굳이 106개로 한 이유가 뭘까?영어권 나라에서 많이 쓰는 키보드는 키의 개수가 총 104개다. 우리나라 키보드에서 한/영 키와 한자키 ... ...
- 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저는 확률론의 창시자 블레즈 파스칼입니다. 얼마 전 복권 당첨 확률을 높이겠다며 과거의 복권 당첨숫자를 통해 당첨 번호를 맞힌다는 어이없는 기사를 봤습니다. 과거의 당첨 번호에 어떤 규칙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수학적인 분석을 하면 복권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 같습니다. ... ...
-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저는 피에르 페르마입니다. 오래전 파스칼과 확률 문제를 계산했던 게 생각나네요. 그때 게임에서 이길 확률을 구하려고 고민을 많이 했었지요. 전 뭐든 보면 직접 계산해 봐야 직성이 풀리나 봅니다.최근에 새롭게 ‘연금복권’ 이라는 새로운 복권이 등장해 그 열기가 무척 뜨겁던데, 다들 연금복 ... ...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러시아에서 살인미수 사건에 휘말렸던 허풍과 도형은 사건을 해결하고 나자 오히려 마음이 무거워 재빨리 러시아를 떠난다. 허풍은 심란해하는 도형의 기분을 전환시키기 위해 중국요리 여행을 계획하는데….1 상하이요리 지도허풍과 도형은 상하이에서 맛집이라고 소문난 곳을 돌아다니며 상하 ... ...
- 뿔의 부피는 진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밑면이 합동이고 높이가 같은 뿔과 기둥에서, 뿔의 부피는 기둥 부피의 1/3 입니다. 이 사실은 각뿔이든 원뿔이든 모든 뿔과 기둥에서 성립합니다.그런데 정말 뿔의 부피는 기둥 부피의 1/3일까요? 이 사실을 의심한다면 아마도 교과서에서 설명이 뭔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겁니다. 모든 교과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