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가속기 손상 시킬 ‘최후의 암초’ 드디어 찾았다
2015.07.08
새로운 공명현상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가속기 속에서 빔은 돋보기로 햇
빛
을 모으는 것처럼 자석을 활용해 빔을 모아 그 위력을 배로 키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빔의 진동 주파수가 특정 주파수와 일치하는 공명현상이 발생하면 빔 입자간 밀어내는 힘이 커져 빔이 정상궤도에서 ... ...
빛
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최대 4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고화질(풀HD) 영화 1편을 0.8초 만에 전송할 수 있다.
빛
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실리콘포토닉스’ 기술은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실용화 수준의 기술을 개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세계적인 3대 주요 난제로 꼽히던 전자기판, 소자의 성능, 광원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건 1년 전이지만 심사 과정에 여러 차례 추가 실험 요구에 따라 지난달 30일에야 비로소
빛
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도 교수는 올해 1월 이후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 이후에도 연구를 계속했다. 또 방사선 치료를 받는 중에도 상태가 호전되면 꾸준히 실험실을 찾았다고 류 교수는 전했다.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유기물질을 이용해
빛
을 내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완벽하게 밀봉하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아몰레드 기판 위에 탄성을 가진 고분자물질과 금속 호일을 차례대로 붙이는 방식을 적용해서 가로세로 5cm×5cm ... ...
“저는
빛
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유전자 치료제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식도. 이 물질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
을 흡수해 활성산소를 내뿜으면서 암세포로 침투한 뒤 유전자를 방출한다. - 가톨릭대 제공 연구진은 일반세포와 달리 암세포 주변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산성도(pH)에만 반응해 구조가 변하는 스마트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연구하고 싶은 분야도 많았다. 아마노 교수는 “친인간적인 해양환경 조명을 만들거나
빛
을 이용해 물을 정화하는 기술 등에 관심이 많다”고 답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7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퇴적될 때는 완전히 편평하게 쌓인다. 하지만 살아있는 시아노박테리아는 좀더 햇
빛
을 잘 받기 위해 둥그런 돔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스트로마톨라이트 역시 둥그렇거나 물결무늬를 띤다. 이런 물결무늬의 화석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는데, 생명체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격렬한 ... ...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소리가 울리더라고요.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찾았다! 수원청개구리다!” 번쩍번쩍
빛
이 날 비추고 찰칵찰칵 무언가가 내 앞에서 터졌죠. 내 노래를 녹음했다며 좋아하는 목소리들도 들렸구요. 나중에 들었지만, 풀숲에서 늦잠 자던 친구들은 따뜻한 손에 한 번씩 잡혔다고 하더라고요. ... ...
‘2015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2015.06.30
내딛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광결정을 이용해 아주 작은 레이저 공진기(원하는
빛
의 공명을 만드는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어 세계 최고 실력자로 꼽힌다. 이 교수는 “KAIST에서 훌륭한 학생들과 연구한 덕분에 큰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제자들에게 공을 돌렸다. 대한민국 ... ...
실명 환자도 볼 수 있게 해주는 인공망막
2015.06.28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 병원에서만 시술하고 있다. 망막색소변성증은 망막에서
빛
을 감지하는 세포의 기능이 망가지면서 서서히 시력을 잃는 질병으로 평균 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한다. 국내 개그맨 이동우 씨도 이 병으로 실명했다. 연구진은 아르구스Ⅱ를 시술받은 28~77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