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651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색깔을 바꿈으로써 언제 신선한 꿀이 충만한지를 나비에게 알린 셈이며, 나비는 꽃의
신호
를 인지하여 자신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한 것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나비들의 학습능력이 한 가지 색을 배우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바이스에 따르면 나비들에게 색을 바꾸어가며 꿀을 주는 실험을 ... ...
난방 하루만에… 中 하얼빈 스모그로 도시 마비
동아일보
l
2013.10.22
25μg의 40배에 이른다. 스모그로 시내의 가시거리가 한때 10m 이내로 떨어졌고 도로의
신호
등도 보이지 않아 버스 등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시민은 마스크를 쓴 채 걸어서 출근해 더욱 고통을 겪었다. 시는 21일 하루 초중고교에 일제 휴교령을 내렸다. 시 주변 고속도로도 ... ...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 KAIST 연구팀 대통령상
동아일보
l
2013.10.22
팀의 박사과정 안태지 조석희 심현선 씨가 공동으로 받는다. 또 특허청장상은 △KAIST 혼성
신호
회로연구실 △LS산전 기반기술연구단 SoC연구팀 △한국전자부품연구원 융합반도체연구팀 △광운대 RECAS팀 등 4개 팀이 받는다. 김호경 기자 whalefisher@donga.com [화제의 뉴스] - 장황한 영어편지 한통… ... ...
소리로 시각장애우의 '눈' 대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음성 안내로는 표현이 불가능했던 40도 방향, 65도 방향 등 굽은 길도 청각 주기
신호
음을 통해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됐다”며 “이와 함께 보호자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어, 무전기처럼 서로 통화도 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의 레이저 파동(펄스)이 분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신호
(시그널)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시그널은 화학 및 생물학적 분자들이 지닌 구조와 성질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그야말로 눈 깜짝할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세포 사멸 연구분야 세계적 권위자
동아일보
l
2013.10.21
네이처에 게재했다. 그는 이 연구에서 유사분열물질-활성화단백질인산화효소(MAPK)
신호
전달계의 새로운 조절 기전을 비롯해 퇴행성뇌질환, 허혈성 질환, 암 등 질병과 세포 사멸의 연관성을 함께 연구했다. 이를 통해 이들 질병과 관련한 주요 유전자 및 단백질의 세포 사멸 조절기전을 제시했다. ... ...
고통과 가려움은 한 끗 차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활성화되면서 가려움
신호
를 뉴런을 통해 전달한다”며 “만성가려움증의 가려움
신호
전달경로는 고통을 전달하는 뉴런과 가려움을 전달하는 뉴런이 모두 관여한다”고 밝혔다. BRAF가 고통에 대한 반응을 넘어 가려움에도 관여하는 것을 밝혀낸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첸 박사는 “BRAF로 ... ...
[채널A] 올 가을 들어 가장 ‘쌀쌀’…설악산에 7cm 첫 눈
채널A
l
2013.10.16
기잡니다. [리포트] 출근길 시민들의 어깨가 잔뜩 움츠러들었습니다. 횡단보도에서
신호
를 기다리는 잠깐 동안에도 차가운 공기에 손은 저절로 입을 감싸고 모자로 바람을 막습니다. 머플러를 두르고 두꺼운 겨울 잠바를 입은 모습도 눈에 띕니다. [인터뷰: 노영후 / 서울 을지로4가] 오늘 아침에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15
새로운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온 통로는 우리 몸에서 전기
신호
를 만들거나 신경
신호
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프로엔자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심폐기능을 젊은 시절 수준으로 유지해 나갈 수는 있을 것”이라고 ... ...
폭식증 일으키는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쥐의 머릿속에 광섬유를 이식한 후 두뇌 속 신경회로에 광
신호
를 흘려보냈다. 그러자 광
신호
로 허기를 일으키는 신경회로가 작동한 쥐는 이미 충분히 배가 부른 상태에서도 먹이를 찾았다. 연구진은 특히 칼로리가 높은 고지방 음식을 선호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스터버 교수는 “이번 연구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