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11
필림의 감도는 ASA 숫자가 클수록 크고 작을수록 작다. 감도가 크다는 의미는 적은 양의
빛
으로도 쉽게 감광된다는 것으로서 감도가 클수록 어두운 장소에서의 촬영에 유리하다.보통 밤하늘의 촬영에 많이 쓰이는 필름은 ASA 400이다. 숫자의 크기와 감도는 정비례 관계다. 숫자가 2배 크면 감도가 2배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11
병렬처리의 방법으로는 프로세서들간의 통신지연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빛
의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는 광학적 구현에 관심이 쏠려있다.그 중에서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연구 분야로는 신경망과 광 기술이 융합된 광 신경망(Optical Neural Networks)을 들 수 있다. 주요 연구 동향으로는 뉴런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11
사람이 아니었다. 반면 발견 뒤 32년 뒤에야
빛
을 보았지만 수상자가 장수했기 때문에
빛
을 본 맥클린토프 같은 경우도 있다.1921년 물리학상을 수상한 아인슈타인의 경우 그의 수상이유는 그 유명한 상대성 이론이 아니라 광전효과였다.이밖에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상에서 제외 되는 ... ...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
과학동아
l
199411
있다. 한편 토성은 아직도 남쪽의 하늘에서 공허한 가을철의 별자리 사이에서 밝게
빛
나며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을 뽐내고 있다.■ 황소자리 유성군10월 상순부터 11월 말까지 활동을 보이는 황소자리 유성군의 남군과 북군이 각각 이 달 3일 13일 극대현상을 보인다. 모혜성인 연케혜성이 올해 초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11
바퀴의 주기성은 뇌에서 분비되는 물질의 영향을 받는다. 실험 II로 보아, 눈에서
빛
을 감지하고 이 자극이 시신경을 따라 시엽을 거쳐 뇌간부에 전달된다. 실험II에서 신경을 절단하여도 주기성이 나타나므로 뇌간부에서 어떤 물질(호르몬)을 생성하여 주기성 활동을 조절 한다고 해석 할 수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11
복사열이 적외선이다. 지구는 밤낮으로 적외선을 은은히 발하고 있다. 적외선은 지구의
빛
이라 할 수 있다.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한 기체들은 열을 붙잡아 두었다가 천천히 외계로 방출시킨다. 따라서 대기권이 하나의 커다란 열 저장소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라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10
열대수림, 훌라춤 등 독특한 남국문화로 수많은 관광객이 즐겨 찾는 곳이다.황금
빛
모래밭과 푸른 바다, 그리고 연중 계속되는 쾌청한 날씨 덕택에 해수욕은 물론 윈드서핑 스킨스쿠버 다이빙 요트 등 갖가지 해양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화산폭발·지각융기에 의해 생긴 섬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 ... ...
우주를 향한 큰 오목거울, 반사 망원경
과학동아
l
199410
제작가능하다.4 망원경을 옆에서 보기 때문에 천정부근의 하늘을 관측하는데 용이하다.5
빛
이 유리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므로 유리의 내부가 균질할 필연적 이유가 없고 뒷면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굴절망원경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크기의 망원경을 만들수 있다.6 위와 같은 이유로 망원경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10
지구에 도달하는
빛
에너지의 1%만으로도 생물은 삶을 지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태양이
빛
을 내며 타는 동안에는(앞으로 50억년 정도?) 쓸모있는 에너지는 있을 것이며 제 2법칙은 생물에게 최종적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다.태양이 다 타버린 시점에 이르러서야 지구와 지구위에 있는 모든 것은 ... ...
화성, 잰걸음으로 프레세페성단 통과
과학동아
l
199410
몰락해가는 봄 왕국의 왕관과 헤르쿨레스자리의 구상성단 M13이 끝까지 자존심을 지키며
빛
나고 있다. 그 위로 거문고자리의 베가와 백조자리의 데네브가 제 2의 전성기를 누리며 적당한 고도를 유지해 관측과 사진촬영의 호조건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한편 동쪽의 하늘에서는 이중성단을 사이에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