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10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후배 여성과학도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신 박사는 전공뿐 아니라 외국어도 잘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과학자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으로 ‘따뜻한 마음’을 꼽았다.진흥 부문에서 수상한 김지영 경희대 교수는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회장과 ...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다채로움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르베이 박사가 성적 취향의 근원을 밝히는 ‘취미 프로젝트’를 시작한 건, 어쩌면 그 자신 게이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러한 결과는 필자가 연구하던 플라스마 이온원의 성능 향상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실을 졸업한 후, 조금 더 넓어진 시야로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핵융합 연구의 중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깨달음을 얻었다. 유영숙 박사는 이런 성공적인 삶을 앞서 걸어가고 있는 멘토다. 유 박사처럼 스스로에게 희망등대를 비추며 생명과학 분야의 외길을 따라 걷는다면, 아직 규명되지 못한 진실을 밝힐 수 있으리란 기대가 생긴다. ‘세계에서 최초로’ 내가 밝혀낸 과학적 사실이 세상의 어두운 ...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금속, 절연체의 분류의 모습은 20세기 중반에 확립됐다.모혜정 교수의 멘토였던 켈로웨이 박사는 개발도상국의 산업육성을 위해 유망한 분야인 에너지 띠 이론을 전공할 것을 권유했다. 모혜정 교수 역시 앞으로 신기술 개발만이 아시아의 조그마한 나라, 한국의 살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 ...
- 16차원에서 월드컵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변이 생겼어. 박사님은 고맙다며 남아공월드컵도 함께 응원해 주신다고 약속했지. 박사님~, 이렇게 외쳐 주시면 돼요!“오~, 필승 코레아!”참여독자 : 손성곤(경기 과천 청계초 2 ... ...
- 자기치료물질과학동아 l2010년 12호
- 2006년 1월 20일 ‘피조그’(physorg.com) 온라인 판에 소개됐다. 연구팀의 셈프리모슈니히 박사는 “10년 정도면 자체적으로 수리가 가능한 우주선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자기치료물질은 자동차, 항공산업 등 분야에서 응용도가 매우 높은 미래 ... ...
- 인간 발전소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귀일 연구원(박사과정)은 “현재는 약 2V 이상의 전압과 11m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며 “지금과 같은 속도라면 몸속에 투입해 심장질환 예고 및 치료를 하거나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찾아 제거하는 영구작동 미세로봇을 빠른 시일 ... ...
- 뇌 기계 접속 기술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용해 기계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2003년 10월, 미 국 듀크대 미구엘 니코렐리스 박사팀은 붉은털원숭이 뇌의 앞부분(전 두엽)과 윗부분(두정엽)에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극을 이식했다. 이곳 이 근육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극을 컴퓨터 와, 컴퓨터는 로봇팔과 연결했다. ... ...
- 바이오 이종 장기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세이치 박사 연구팀이다. 이종 장기의 창시자라고 불린다. 피츠버그대는 데이비드 쿠퍼 박사를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 중이다. 바이오 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도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바이오 이종 장기 개발사업단, 장기복제이식기술 개발사업단을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