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휴스턴우주
센터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실내에 전시하기 어려운 초창기의 로켓들은 '로켓공원'에 별도로 전시돼 있다.휴스턴우주
센터
를 만드는데는 IBM 듀폰 코카콜라 등 다국적기업들이 기금을 조성했다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인병을 막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아무 운동이나 건강에 도움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나 체력조건에 알맞는 운동을 선택해야 성인병의 위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최선의 기능을 유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의약품 및 첨단기술제품의 원료를 얻는데 주력하고 있다. 과기청 산하의 해양과학기술
센터
는 심해생물의 연구를 주도, 이의 산업적 이용에 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민간연구 개발 조직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BIDEC(Bioindustry Development Center)를 꼽을 수 있다. 한편 일본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망하게 된 것이다.최근 서울대병원과 서울중앙병원 등 대학병원에서는 장기이식
센터
를 설립, 장기수여자와 공여자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부분적인 뇌사인정 추세에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장기이식시대를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장기이식문제가 크게 이슈화되자 국내에서도 사후에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자가운전자에게 각종 편익을 제공하리라 본다.예를 들어 집을 나서기 전에 도로정보안내
센터
에 전화하여 목적지까지 가능한 경로들에 대한 도로상황을 문의할 수 있고 최단시간 경로를 추천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행중에 교통사고 등으로 현장의 교통상황에 변화가 생기면 차량 내부에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협력기업과 같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생물학적 고정화팀은 도쿄 대학 과학기술
센터
와 함께 △ 광합성 미생물 탐사 및 육종 △ 유기물질 생산 △ 배양장치 및 태양광 집광 요소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화학적 ${CO}_{2}$ 고정화팀은 일본 화학기술연구소, 자원환경기술 총합연구소, 오사카 ... ...
2. 비디오텍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일일이 설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교육진행 및 교육생 배치를 중앙관리
센터
에서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각 교육실의 상황 및 교육내용을 통제할 수 있다. 비디오텍스를 이용한 교육안내시스템이 잘된 곳으로는 일산에 자리 잡고 있는 국민은행 연수원을 들 수 있다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개인이 구입하기는 벅차기 때문이다.데이터베이스용 CD롬을 판매하는 교보문고 첨단정보
센터
의 홍영표과장은 "2백여종의 국내외 CD롬 타이틀을 구비해놓고 있는 데 하루 평균 20여명의 고객이 들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고 있다. 주고객은 해외산업정보를 구하려는 기업체 직원과 논문을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검출기 개량올해의 노벨물리학상은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물리학자로 유럽핵물리연구
센터
(CERN)에서 활동하고 있는 샤르팍(Charpak)박사에게 주어졌다. 샤르팍박사는 입자물리실험학자로서 현대 입자물리실험을 위한 검출기 개발에 있어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그가 1968년에 개발한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여러가지 의견이 제시되어 있다.무소츠키 박사(메리랜드에 있는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
의 천체물리학자)는 표준모델은 아직 과학이론으로서는 유아에 지나지 않지만 계속해서 성장하고 변화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 모델은 물론 모두는 아니지만 많은 테스트를 통과했다. 아직은 완전하지 않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