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컵 세계 로봇 축구대회 한국 우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피라컵보다 늦게 출발했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로봇축구 대회는 로봇공학과
인공
지능에 대한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3-5명의 로봇이 팀을 이루어 공을 찾아내 패스, 드리블, 방어 등의 기술을 발휘해 상대편 골문에 골인시킨다. 때문에 로봇은 자기팀과 상대 팀을 구별하는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 실험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됐을까. 먼저 시험관에서 돼지의 정자와 난자를
인공
적으로 결합시켜 수정란을 얻는다. 여기에 산양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유전자를 미세한 주사바늘을 통해 주입한다.이때 성장유전자를 주입하는 시간을 잘 정해야 한다.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 정자의 핵과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때문이다.연구팀은 1998년 보람이의 정자를 채취해 다른 젖소의 난자와 시험관에서
인공
적으로 수정시킨 뒤 1백20마리의 암소에 수정란을 주입했다. 보람이의 진가가 발휘되려면 새로 태어난 젖소 가운데 암소의 젖에서 락토페린이 발견돼야 한다. 현재 연구팀은 새끼 암소들이 락토페린 유전자를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운하가 없다는 사실은 2년 뒤 마리너 9호에 의해 확인됐다. 1971년 11월 24일 화성 최초의
인공
위성이 된 마리너 9호는 화성을 저공비행하면서 9천장의 사진을 보내왔지만, 그 어디서도 운하의 흔적은 없었다. 그러나 마리너 9호는 화성에 생명체가 사는지, 산다면 어떤 생명체인지에 대한 숙제를 여전히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들꽃의 이름을 따라 ‘모브’(mouve)라고 불렀고, 그후에 빨간색의 알리자린 염료를
인공
적으로 합성하는 방법도 개발해 영국의 섬유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1865년에 다시 독일로 돌아간 호프만은 쓸모 없던 산업폐기물인 콜타르에서 50여 가지의 유용한 화학 물질을 분리하는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이 호텔에는 64개의 객실과 레스토랑, 스포츠시설이 들어선다. 특히 원심력을 이용해
인공
중력을 만듦으로써 지구중력에 적응해온 인간에게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아이디어. 그러나 무중력에서 우주유영을 즐기는 기쁨을 빼앗지 않기 위해 특별시설을 갖출 예정이라고 한다. 그런데 199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진척됐다. 한 예로 컴퓨터 모니터 안에서 진짜 세포와 똑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춘 ‘
인공
세포’가 개발됐다. 키보드를 두드려 이 세포에 적절한 자극을 가하면 실제와 유사한 반응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미래에는 실제와 똑같은 가상인간이 등장하리란 것도 꿈처럼 들리지만은 않는다. 이 일이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0세기의 허리를 싹둑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은 한국. 그때 시 ...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의
인공
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려놓으며 굴러간다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수상했다. 모건의 제자인 허먼 멀러(1890-1967)는 1927년 초파리 염색체에 X선을 쬐어
인공
돌연변이를 일으킴으로써 스승의 연구를 뒷받침했다. 그 역시 1946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1924년 염색체가 단백질과 핵산(DNA와 RNA)이란 두 물질로 이뤄졌음이 밝혀지면서 유전연구는 다시 딜레마에 빠지기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실시한데 비해, 러시아는 단지 보스호드 2호만 발사했을 뿐이다. 특히 세계 최초의
인공
위성 스푸트니크를 발사했고 가가린을 우주로 보냈던 러시아 우주개발의 아버지 코롤료프가 1966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러시아의 달착륙 계획은 큰 차질을 빚는다.미국에게도 시련은 찾아왔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