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어느 날 그는 로켓 마니아 민간 클럽인 RRS 회원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서 직접 만든 로켓을 시험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RRS는 1943년에 만들어진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민간 로켓 동호회로, 모하비 사막에 자체 소형 로켓 발사 시설까지 가지고 있다. 머스크는 모하비 사막을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판옥선과 거북선에 장착한 화포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당파 전술을 행했다. 즉 배와 배가 직접 부딪치는 일은 별로 없었다.판옥선에는 화포를 10문 이상 실었던 것과 달리, 세키부네에는 1문도 싣기 어려웠다. 이 차이도 란체스터 법칙을 역으로 이용하는 데 유효했다. 무거운 탄환을 수 백m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떠난다. 진화론에서 다윈과 쌍벽을 이뤘던 알프레드 월리스가 답사했던 지역을 직접 탐사하며 강의에서 배웠던 내용을 고민하고, 스스로 응용해 본다. 조경래 지스트대학 기초교육학부 교수는 “다양한 연구 방법과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익힌 학생들이 낼 결과물을 무척 기대하고 있다”고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말하는 소리를 듣고 지하실을 파보니 오래된 관이 있었다는 내용과 에디슨이 죽을 때 직접 초자연 현상을 일으키겠다고 약속했고 실제로 죽었을 때 주변의 시계가 모두 멈췄다는 내용이었습니다.그런데 게시물에 함께 있는 미국 잡지 기사 이미지의 내용은 다릅니다. 에디슨이 귀신을 탐지하는 ... ...
- 우주에서 키우는 싱싱한 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간다하더라도 금세 상해버리거든요. 그래서 NASA(미국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은 ISS에서 직접 채소를 기르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지요. ISS에서 채소를 키우면 우주인들이 샐러드를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성이나 달에서도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등도 실험할 수 있답니다.NASA 과학자들은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도움 없이도 관측이 가능하지. 하지만 눈은 아직까지 관측 장비로 알 수 없어서 사람이 직접 보고 판단하고 있어.우리나라는 자연 현상에 대한 기준을 주로 기상청에서 정하고 있어. 자연현상은 온도나 강수량, 일조량 같은 기상 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야. 꽃이 피는 시기도 온도에 가장 많은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제약이 따른다. 우선 상대방의 몸에 미리 특수한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에만 감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감정만 판단할 수 있고, 과거의 감정은 측정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알아낼 방법이 없다.반면에 최근 들어 ... ...
- 어린이의 꿈이 현실이 되는 세계 원더랜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양한 방법으로 배경을 만들어 사진을 찍었어요. 포토샵이나 컴퓨터 그래픽 없이 직접 손으로 실물을 만들고 찍은 이 작품들은 ‘사람냄새 나는 작품을 하고 싶다’는 작가의 감수성이 고스란히 묻어 있답니다.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어른들은 자주 물어요, “넌 꿈이 뭐니?” 그럼 “가수가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양소를 얻기도 해요. 홍조류인 김, 우뭇가사리 등은 주로 깊은 바다에서 자라지요. 직접 먹기도 하고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 유화제의 원료로 쓰인답니다. 해조류박람회 곳곳을 다니며 열심히 취재하다 보니 어느새 점심시간!으아~, 배고프다!그래! 어쩐지 아까부터 자꾸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계산기가 없어서 수학자들이 삼각함수나 로그와 같은 문제를 풀려면 도표를 보고 직접 계산해야만 했다. 그래서 계산하는 데 몇 주가 걸리기도 했다. 이에 영국 캠브리지대 수학과 교수였던 찰스 배비지는 계산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신해 줄 기계를 생각해 냈다.마침내 배비지는 1833년에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