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안에선 무슨 일이? 생각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날 따라와!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뇌 안에선 무슨 일이? 생각벌레Part1.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Part2.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Part3.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참고(니콜라우스 뉘첼, 위르겐 안드리히, 비룡소, 2009),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절반은 부서진 채 블랙홀 바깥으로 흩뿌려졌어요. 이 과정에서 별의 구성물질이 초속 1만km의 속도로 방출되었죠.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대질량 블랙홀이라는 극단적인 환경에서 물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답니다 ... ...
- [시사과학]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은? 유엔 세계식량 계획!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계속돼 구호품 배달이 어려운데다가 코로나19 감염 사례도 나타났지요. 남수단은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되기 전부터 가뭄과 메뚜기 떼의 공습으로 식량난에 시달리는 상황이고요. WFP는 “이들 국가에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협력할 필요가 있다”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때문에 교대한 동안 최대한 먹이를 섭취하는 거예요.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 지난 2019년 11월, 극지연구소의 펭귄행동연구자 이원영 박사, 프랑스국립연구소 뇌파연구자 폴 앙투앙 리부렐 박사와 함께 남극 펭귄 마을로 떠났습니다. 저는 연구 과정에서 펭귄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진찰하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당기고, 튕기면 숫자 칸에 쏙~! 핀볼 확률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조립하면 게임판 완성! 그 다음은 핀볼의 장애물을 설계할 차례예요. 게임판에는 구멍 100여 개가 나 있는데, 여기에 나무못과 바람개비, 고무줄 장애물을 꽂아요. 섭섭박사님은 “쇠구슬을 직접 튕겨 보며 더 많은 장애물에 부딪힐 수 있도록 설계하면 더 재미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해마, 우리은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3억 년 후에 생긴 거예요.우리 은하는 나선형 은하로, 지름이 약 14만 광년에 두께는 1만 광년이 넘어요. 가운데로 갈수록 많은 별들이 몰려 있는데,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가 아니라 외곽 부분에 있지요. 견우와 직녀가 칠월칠석날에 만나는 다리인 은하수는 지구에서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생각을 점프하면, 새로운 지점에 또다른 생각벌레가 생겨나는 거예요.연구팀은 1분마다 평균 6.5번의 생각 전환이 일어나는 걸 확인하고 이를 근거해 수면 시간(8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평균 6200번의 생각이 나타난다고 추론했지요.조던 포팽크 박사는 “생각이 얼마나 바뀌는지 알면 앞으로 뇌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임무의 목표는 최소 60g, 최대 1.8㎏의 샘플을 얻는 거예요.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은 2021년 베누를 떠나 2023년 9월 중으로 지구에 돌아올 예정이에요. 이번 임무로 미국은 2005년 소행성 ‘이토카와’의 샘플을 채취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소행성을 탐사하고 샘플을 채집한 국가가 돼요. 오시리스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프로그래머에게 영화 속 해킹 장면을 보여준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도마뱀 껍질을 벗기자! 조회수 : 681만 회채널명 : 집돌이총각 (구독자 수 : 21만 명) 도마뱀과 같은 파충류는 자라면서 몸집이 커짐에 따라서 바깥쪽 피부를 벗어요. 이를 ‘탈피’라고 부르지요. 성장이 빠른 어린 개체일수록 자주 탈피를 하는데, 짧게는 1~2주에 한 번씩 하기도 해요. 자연에서는 ... ...
- [특집] 숨은 전기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그런데 리튬 이온 배터리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많은 환경 파괴가 이뤄져요. 순수한 리튬 1톤을 생산하기 위해선 리튬이 포함된 광석 250t(톤) 또는 소금물 750t에서 리튬만 뽑아내는 과정이 필요하거든요. 이 과정에서 산을 깎거나 호수물을 퍼내는 등의 자연 파괴가 이뤄지죠. 실제로 리튬의 주요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