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년"(으)로 총 1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주 박물관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20401
- 앞에 진묘수가 있었어요. 무덤을 수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1971년에 발굴됐어요. 뿔이 있었고 몸통에는 날개와 꼬리가 있어요. 입술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었어요. 박물관에 들어가서 보았는데 왕과 여왕이 신었던 신발을 봤어요. 여왕이 신었던 신발은 못이 더많이 박혀있고 왕은 조금더 적게 박혀 있었어요. 또 왕이 사용했던 여러 가지 술병 ...
- 개소리 4화_원수에게 자비를(1)포스팅 l20220401
- "원수". 얼마나 멋진 단어인가. 내 인생 최고의 원수는, 박철민이다. 상황은 이랬다. .... 1년 전, "선아~~~" 내가 말했다 "왜ㅐ" "내가 재밌는 이야기해줄까?" "구랭" "실제로 있던 이야기인데, 4명의 여고생이 있었어. 그들은 너무 배가 고파 분식집에 갔어. 그리고 한 ...
- 올해도 역시나 돌아왔군요포스팅 l20220401
- 저도 딱 1년 전에 탈퇴한다고 ㄱ뻥을 쳤었죠 ...
- 저 탈퇴하겠습니다포스팅 l20220401
- 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보면 부질없는 일인 것 같네요. ㅎ... 아직 어과동 생활이 1년이 안 되었지만,, 16일 후만 되면 가입 1주년이 되는군요 그동안 정말 많은 일과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떤 기자분과는 갈등이 생기기도 하였고, 어떤 기자분은 반초/반박하기도 하였고, 응원댓글에서 실시간으로 채팅하기도 하였습니다.. 지금 보 ...
- 유기견과 강아지기사 l20220331
- 통해 알 수 있듯, 유기견 입양보다 동물판매업소에서 입양하는 것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출처:주머니속의 행복 (2014년 자료입니다. 추가 자료는https://www.youtube.com/watch?v=Efwze07CYv0) 유기견에 대한 시선을 바꾸기만 하면 생각도 바꿀 수 있습니다. 유기견은 강아지와 다를 게 없습니다. ...
- 사랑은 마음을 움직여 제 5화포스팅 l20220331
- 하아..그렇게 힘든 체육시간이 끝나고 쉬는시간. 난 엤날 공상에 빠져있었다.. '나 6학년 때 사격부였는데... '돌아가고싶다.' '그때 연준이랑 사귈 수 있었는데에에!!!ㅜㅜ' '아 진짜 연준이랑 사귀기 전까지 갔는데 왜 나왔나고오!!!ㅜ' '힝구 절규해도 나아지지 않는 현실...ㄸㄹㄹ..' 원래 연준이와 나는 사격부에서 ...
- 심해의 거대 등각류,바티노무스 기간테우스!기사 l20220331
- 토바 수족관에서 2007년 9월부터 사육하던 'No.1'이라는 이름에 바티노무스가 2009년 1월 2일에 50g정도에 먹이를 준 이후 2014년 죽기까지 5년하고도 1개월 동안이나 먹지 않았다고하네요. 일본에서는 바티노무스를 스테이크처럼 구워서 먹는다고 하네요.저도 먹는다고 들어는 봤는데 이러게 요리해 먹는 ...
- [과학동아천문대 - 이달의 우주 날씨] 따뜻한 봄날의 은하 여행공지사항 l20220331
- 여러분 안녕하세요~ 과학동아천문대입니다!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바람이 기분좋게 불어오는 봄이 되었네요~ 봄바람 휘날리며~♬ 떠나는 봄철 밤하늘의 은하 여행! '이달의 우주 날씨'호에 탑승할 준비는 되셨나요? 2022년 3월 31일 저녁 7시! 3월의 마지막 날도 동아사이언스와 함께! ...
- 편집아니고 실제인 엄청 신기하고 재미있는 동물 !기사 l20220330
- 블로그) 아~! 이건 대부분 아실 건데요~. 가장 이상하고 소름끼치는 새중 하나인데요~! 이 새의 이름은 '어깨걸이 극락조' 랍니다! 6년전, 어떤사람이 '어깨걸이 극락조를' 그려서 이 새의 이름이 무엇인지 인터넷에 올렸어요. 그걸 본 사람들은 이 새가 어떻게 존재하냐고 막 비난을 했어요. 하지만 이 새를 올린 사람이 영상을 보여주자, 사람들 ...
- 멸종위기 동물 Top 3기사 l20220330
- 95%가 이미 멸종 되었습니다. 무분별한 밀렵과 서식지 파괴 탓에 현재 4천여 마리 개체수도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2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뱅골호랑이를 국제 멸종위기등급 '위기(EN)'종으로 분류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아프리카 치타 입니다. 서식지의 77%가 보호구역 밖에 있는 이유다. 결국 인간의 거주지와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